본문 바로가기
♡ 지구촌의 사상 ♡/♡ 한국사상

삼일신고(三一神誥)의 수련원리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방법론 이해

by 윈도아인~♡ 2012. 3. 17.

 

*** 이 논문은 김종업 박사의 박사학위 논문입니다.(2004년 명지대학교 대학원) ***

 

국문초록


삼일신고(三一神誥)의 수련원리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방법론 이해


김 종 업


수련과 수행을 언어로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수련자체가 감각으로 얻는 개인의 체험세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체험의 세계에 있어서도 원칙이 있고 우주변화의 혼란 가운데도 흐름을 지배하는 일정한 원리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련의 본질을 얻는 방법으로서 삼일신고라는 상고시대의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조선시대 수련관련 문헌에 기록된 내용과 비교,  장기간 수련자들의 심층면접으로 수련의 원리를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우주적 본체를 하나로 보고, 거기서 파생된 세 원소를 性, 命, 精이라고 하였으며, 인간자체도 이를 통합한 완성된 하나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능면에서 인간은 육체와 에너지, 본질의 세 요소로서 나누어진 것이라고 하는 三一神誥의 기본 가르침에서 이를 합해가는 과정이 현대의 수련법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인간의 삼분법적 구성을 하나로 통하도록 하는 것이 수련이며 이를 위한 방법론이 止感(감각을 추구하고), 禁觸(부딪힘을 금하며), 調息(숨쉬기를 고르게)임을 밝힌 것이다.

止感(감각의 추구)이란 느낌의 작용을 멈추어 마음의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이다. 외부 감정의 인식으로 몸의 포로가 되면 인간은 마음이 황폐하여지고 이어 수명도 단축된다는 것이니, 수련에 임하는 사람은 당연히 육체적인 욕심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禁觸(부딪힘을 금함)은 나와 만물이 그 뿌리를 같이 함에도 나라는 편협한 몸에 갇혀 대상을 추구하거나 괴롭힘이 있으니, 대상과의 마찰을 없애라는 것이다. 대상은 외부로부터 인식되는 사물뿐만 아니라 내 마음속의 갈등요소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調息(숨쉼을 고르게 함)은 수련의 핵심이다. 지감이나 금촉의 방법론이니, 이는 몸안으로 들어오는 모든 감정과 욕심의 통제는 숨쉬기로서 가능하다는 뜻이다. 숨은 곧 氣로서 오늘날 모든 수련을 기수련이라 하는 어원이 되었고 스스로가 느끼는 세계의 조절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숨쉼은 음식이 주관하는 육체의 기질을 호흡이 주관하는 마음의 기질로 바꾸어 나가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장기간 수련자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보면 그 방법은 인간의 의지로서 할 수 있는 숨쉬기를 통하여 단련하고, 최종단계는 하늘과 하나 된 다음에 인간에 이롭도록 하라는 것이다. 핵심은 호흡이며 단순히 코나 입으로 행하는 흉식호흡이 아닌 아랫배로 행하는 단전호흡을 해야 하고, 연후에 호흡자체가 완전히 끊어지는 無息의 상태에서 본성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 단계라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기계론적 결정관으로 건설된 오늘날의 문명은 묘하게도 비과학적, 비논리적 사고라고 일컬어진 동양적 사유관에서 그 해답을 찾고 있다고 보면, 우리는 수련을 통해서 그 해답을 널리 전파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개인혁명은 호흡법으로 완성하고, 사회혁명은 功完으로 완성하며, 인류혁명은 수련을 통한 靈性의 일반화가 되었을때 가능할 것으로 보는 것이다. 추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하는 것은 장기간 수련자들이 증언한 느낌 고감도의 세계를 모든 이들이 공유하여 함께 참 본성의 세계를 깨닫도록 하는 것이다.

목  차


국문초록                                                                    5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의 필요성                                                      4

     1. 사회적 문제                                                          4

     2. 선행 연구                                                             5

  제3절 연구의 목적                                                        6

  제4절 연구 문제                                                           6

  제5절 연구 방법                                                           7

     1. 문헌 연구                                                            7

     2. 질적 연구                                                            8

  제6절 연구의 범위 및 제한사항                                        9


제2장 천부경과 삼일신고                                                  11

  제1절 천부경                                                             11

  제2절 천부경의 핵심내용 해석                                        12

  제3절 象數의 개념                                                       14

  제4절 삼(三)과 일(一)의 의미                                         15

  제5절 삼일신고의 포괄적 구성과 내용                               16

     1. 天訓                                                                  17

     2. 神訓                                                                  17

     3. 天宮訓                                                               18

     4. 世界訓                                                               18

     5. 眞理訓                                                               19

  제6절 소결론 (수련적 의미)                                           20


제3장 진리훈의 수련원리에 대한 현대적 해석                            21

  제1절 三眞, 三忘, 三途의 개념                                        21

  제2절 止感, 禁觸, 調息의 이해                                        23

     1. 일반적 견해                                                         23

     2. 수련자의 견해                                                      24

  제3절 수련원리에 대한 체험적 분석                                  27

     1. 保精의 의미와 방법                                                27

     2. 知命과 氣의 정의 및 방법                                        31

     3. 通性의 개념                                                         34

  제4절 수련적 의미에 대한 몸과 수련단계                           37

     1. 수련적 의미로서의 몸                                             37

        가. 일반적 의미                                                     37

        나. 몸의 에너지 통로, 명문과 삼초                             39

     2. 단과 단전에 대한 이해                                            41

     3. 마음과 육체간의 상호관계                                       43

  제5절 소결론 (정기신과 수련단계)                                   44

     1. 정기신과 성명정                                                   44

     2. 수련단계                                                             46


제4장 조선시대 수련법                                                    49

  제1절 김시습의 내관법                                                 50

     1. 養性                                                                  51

     2. 服氣                                                                  52

     3. 鍊龍虎                                                               53

  제2절 정염의 용호비결                                                 55

     1. 수행의 자세와 閉氣                                               56

     2. 胎息                                                                  62

     3. 周天火候                                                             64

  제3절 권극중의 無息과 주천화후                                      67

     1. 기본사상                                                             67

     2. 수련법                                                                69

  제4절 소결론 (지감, 금촉, 조식과의 비교)                          75


제5장 삼일신고 수련원리의 현대적 적용                                  77

  제1절 몸수련, 지감과 調身의 느낌과 방법론                        78

     1. 몸에 대한 수련적 상식                                             78

     2. 운동과 노동, 도인의 본질                                         80

  제2절 調息, 호흡수련과 방법                                            81

     1. 호흡의 생리학적 전개                                              81

     2. 수련적 의미로서의 호흡                                           82

     3. 기본원리, 자세, 調心과 調息의 방법과 느낌                   83

  제3절 몸의 변화 및 부작용                                              88

     1. 하단전(精) 수련과 변화, 부작용                                 88

     2. 중단전(氣, 또는 命)의 수련과 변화, 부작용                   90

     3. 상단전(性) 수련 및 느낌과 부작용                               93

  제4절 소결론 (수련결과)                                                 96


제6장 결론 및 제언                                                        97

부록                                                                      102

  제1절 수련시 나타나는 초능력에 대한 견해                         102

  제2절 시공간, 절대의 세계에 대한 체험                              107

  제3절 육체와 질병에 관한 견해                                        108

  제4절 우주론과 지구의 미래                                            110

ABSTRACT                                                               112

참고문헌                                                                  114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고대로부터 한민족의 생활에는 氣의 개념이 생활화 되어 있었다. 氣分이 좋다, 勇氣가 있다, 氣가 막힌다 등 정서적인 상태와 육체적인 상태의 미묘한 부분까지 氣라는 용어로 표현한 것이다. 근래들어 새로운 개념으로 등장한 氣는 웰빙과 함께 21세기의 변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물질문명의 급속한 발달이 상대적으로 정신문화를 위축시킨 점은 누구나 인정하고 있다. 서구의 기계론적 세계관으로 건설한 오늘날의 문명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것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이 그만큼 가까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변화의 시점에서 정신문명이 대두하는 것은 새로운 관점의 시작이 아니라 오랫동안 잊혀진 정신세계를 찾는 탐구로 생각할 수 있다. 과학도 한계에 부딪혀 새로운 代案을 모색하느라 신과학운동이다, 認知科學이다1) 하여 또 다른 차원의 세계를 탐닉하는가 하면, 종교도 객관적인 神의 세계에서 주관적인 나의 탐구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는 시대이다. 그물망처럼 조직화되어 통제와 권위로 나가는 사회상은 개인이 우선시되는 위대한 IT혁명의 시대로 바뀌고, 문화는 개인의 靈性을 추구하는 표현위주로 전환하고 있다. 가히 코페르니쿠스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도래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2)

물질위주의 세계관, 과학만능시대의 종말이 다가오고 정신세계의 대두가 새로운 화두가 되어버린 오늘, 변화의 흐름을 물질과 정신의 경계가 없어지는 시대」라고 정의하는 사람도 있다.3)

눈으로 보이는 사물만을 탐구하는 자연과학, 인체를 생리와 해부학적으로만 연구해온 의학, 육체로부터 분리된 의식과 무의식만을 분석한 심리학, 몸 자체만의 생존을 위한 경제학 등이 엄청난 파장을 맞아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시대인 것이다. 좀 더 고차원적으로 이야기하면 시간과 공간, 주관과 객관, 정신과 육체의 분류자체가 무의미해지고 총체적이고 징후적인「고감도 느낌의 세계관」이 앞으로의 시대를 주관할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느낌의 세계를 준비하기 위한 현재의 할 일은 새로운 대안에 대한 탐색이다. 나와 남의 구분이 없는 세계, 대상이 주관과 합치는 세계는 분명 현재의 생활방식을 혁명적으로 바뀔 것임에도 대처방안을 논하는 수준은 현재의 시점에 머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현재만을 고집해서는 변화가 없다고 보면 직업, 주거, 의복, 심지어는 먹는 대상까지도 바뀌어야 할 것이다. 왜 하루 세끼를 꼬박꼬박 먹어야 하는가, 몸의 에너지는 어떤 방식으로 충전할 것인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은 언어밖에 없는가 하는 의문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4)

形而上學的 의문, 어리석은 의문 같지만 변화의 본질을 감안하면 질문으로서의 가치는 있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새로운 시대는 분명 동물적 삶의 패턴을 바꾸는 靈性의 시대를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5)

신라시대 박제상이 쓴 「부도지」란 역사서에는 우리 선조들의 靈性 위주 생활상이 분명히 들어 있다. 땅의 젖을 먹었으니 이빨이 없었고 氣, 水, 火, 土를 넘나들었으니 生의 한계가 없었으며, 뜻으로만 통했으니 말이 소용없었다는 내용이 바로 그것이다.6)  이를 기초로 본다면 우리 선조들은 영성위주의 삶을 위한 수련을 해 왔으며, 그것이 神仙道, 風流道란 이름으로 하여 아직까지 그 맥은 유지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道란 이름으로 종교가 되었으며(道敎), 현재는 태권도, 유도 등 무술을 통한 이름으로, 최근에는 氣修鍊 등의 이름으로 영성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 왔다. 그러나, 무술을 통하든 수련을 통하든 冥想을 통하든 간에, 일부사람의 전유물로서 정신세계에의 접근은 현실에 바탕을 두지 않는 한 공허하다고 한다.7)

널리 모든 사람에게 이익이 되는 수단으로서의 접근방법은 없는가에 대해 몇몇 선각자들은 氣공부를 위한 이름으로 國仙道, 丹學 등의 수련법을 제창하여 사회적 공감대를 넓혀가고 있다. 종교적 차원에서는 명상, 선, 요가 등의  수행방식이 널리 퍼져 수행은 이제 인적없는 산속이 아니라 대도시의 도심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수행의 기본이념인 弘益人間, 즉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는 가치관은 거대한 물질문명의 우산 밑에서 씨앗만 뿌려진 상태이고 發芽는 되지 못하고 있다. 인식이 고착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바른 정신, 바른 행동, 바른 사회를 가꾸어 가는 새로운 영성의 시대는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고 다른 생활 패턴을 요구하고 있다. 자본주의적 가치관을 대신할 새로운 생명관의 정립, 우주의 본체와 인간에 대한 재해석, 생존수단인 호흡과 음식철학의 재해석을 기초로 한다면 새로운 출발은 가능할 것이다. 전혀 새로운 사상의 창조가 아니라, 오래전 우리 조상들의 지혜에서 그러한 삶의 패턴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언어로 溫故知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느 시대, 어느 정신세계를 탐구해야 하는가의 문제가 대두 되는 바, 비록 현재의 역사학계가 별로 주목하고 있지 않지만 상고사 시대의 민족 경전인 ‘천부경’과 ‘삼일신고’가 오늘날 정신문명의 출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8) 왜냐하면 인간에 대한 풍부한 해석, 자연에 대한 새로운 시각,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의 기초인 우주관이 전부 다 들어 있다. 거기에는 우주적 담론이 있고 인간의 분석학이 있으며 수련을 통해 가고자 하는 목표가 있기 때문이다.

제2절 연구의 필요성


1. 사회적 문제 


오늘날 氣修鍊은 보편적 사회현상이 되어가고 있다. 국내의 수련 단체는 크든 작든 각종 이름으로 저변을 확대하고 있으며, 인터넷에서도 氣관련 사이트가 넘쳐나고 있다. 2004년 6월 현재 웹 사이트는 213,859개, 카페만도 194,185개가 검색되는 실정이며 氣치료, 氣 관련 상품판매 등 수련 외적인 분야에서도 상업화하는 경향이 보이는 실정이고 보면 氣라고 하는 것이 “존재는 한다”라는 인식은 이미 보편화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氣가 마치 만병치료를 위한 의학분야의 첩경으로 인식되어 가고, 장풍과 투시 등 초능력을 위한 수단으로서 신비주의적 경향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더하여 氣를 이용한 상품들을 판매하기 위해 誤導된 정보들을 양산한 관계로 수련자체가 점차 惑世誣民의 수단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9)  더구나 조그만 성취를 이룬 사람들에 의해 종교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를 감안해 볼 때, 氣 수련에 관한 과학적 접근과 이를 객관화시키는 작업은 한시가 급하다고 하겠다. 문제는 서구의 과학적 분석 방법으로는 氣에 관한 포괄적, 징후적 느낌의 세계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개인의 수련 경험만으로 과학화하기에는 또 다른 신비주의를 포장하는 결과밖에 유추할 수 없다는 점이다.

氣에 관한 정의가 중국에서는 氣功, 일본에서는 合氣, 한국에서는 丹이란 용어와 함께 통용되고 있다.10)  또한 한의학에서의 氣와 수련자의 氣가 약간의 차이가 있는 관계로 이를 학문적으로 종합 체계화하는 작업도 늦었다고 할 것이다. 수련방법에 있어서도 호흡을 강조하는 단체, 마음공부를 중시하는 단체, 기도와 명상을 통해 정신수양을 위주로 하는 단체 등 차별화가 많다보니  正法과 亂法의 구분이 모호한 지경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대다수이다.


2. 선행 연구


외국의 연구현황은 활발한데 비해 국내연구는 빈약하다.

중국 기공 과학회는 이미 100년전부터 정부가 공식 인정하는 국가기관으로 공인되어 사례수집과 실험을 일상화하고 있으며, 미국은 60년대부터 듀크 대학의 라임(Rhime)교수, 프리스턴 대학의 얀 (Jhan)교수, 네바다 대학의 라딘 교수 등이 초심리학이란 용어로서 마음이 물리적 작용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하여 30여년간 지속적으로 연구해 오고 있다. 또한 소련은 60년대 초 안드로포프 대통령이 KGB 국장시절부터 念力에 대한 집중투자를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特異功能[초능력] 전 분야에 대해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도 1988년 11월에 요미우리 신문과 과학기술청이「기와 인간과학」이라는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존재하는 현상에 대한 이해」수준에서 접근하여 현재도 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1)

국내 연구현황을 조사한 결과, 논문 및 간행물 95편, 단행본 33권으로서 이 중 순수하게 상고시대 선도의 도맥을 연구한 내용은 희박하였다. 이 중 삼일신고와 관련된 논문은 2000년도 학위 논문으로 발표한 「한의학과의 상관성」에 관한 내용과 정신과학학회 논문집에서 간간이 발표되는 내용이 더러 있었다. 단행본은 조선시대 권극중 도인의 정신사상을 전개한 「조선의 내관사상」이 참고가 될 뿐이며, 오히려 도교학회에서 발간되는 한국 도교사상총서에서 연구한 논문이 더 심층적이었다. 더하여 연구내용은 문헌해석과 이의 인용이 주(主)로서 체험적 느낌없이 머리로서만 이해한 수준 정도이기 때문에 해석자체가 이상한 경우도 있었다.12) 즉 글의 전개에 익숙한 학자들이 학문적 적용 위주로 해석한 내용이 많고 보면, 실증적이고 경험없이 논한 내용에 대해 안타깝기도 하고, 더하여 수련자의 입장에서는 질적 연구를 통한 객관화 작업은 더욱 필요하다고 느낄 따름이었다.

   

제3절 연구의 목적


 외국의 경우를 보면 수련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초능력 위주로 연구하는 경향이 있고13) 국내에서는 수련방법에 대한 본질의 이해가 미흡한 점이 있었다고 본다. 따라서 과거 上古時代의 선인들이 신선도 또는 풍류도라 불리운 사상을 조선시대 권극중, 김시습, 정염 등의 방법론으로 비교하여 보고, 이를 현대적으로 검증하여 수련원리를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부차적인 목적으로서 氣수련 본질에 대한 일반인들의 편견을 해소하고, 현재의 과학수준으로는 검증이 어려운 「느낌강도」의 내용을 일반화시키며, 특히 초보 수련자들에게 목표와 수준을 어느 정도까지로 한정시켜 주느냐에도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제4절 연구 문제


연구 문제는 삼일신고의 본질을 머리로 해석하는 것이 아닌 체험의 세계를 일반화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수련문화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이론적 개념 정립과 함께 방법론에 있어서 “어떻게”와 “어느 정도 수준”을 나타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천부경과 삼일신고의 핵심내용을 분석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2. 삼일신고 제 5장, 진리훈에 있어서의 수련방법을 오늘날의 개념으로 해석하며,

3. 진리훈의 수련법을 실제 적용하였던 조선시대 수련법을 문헌으로 분석하여 오늘날의 수련과 비교하여 보고

4. 이를 현대적으로 적용시 나타나는 느낌강도를 분석, 수련진행과정의 느낌과 수련결과를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제5절 연구 방법


수련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인문학적 접근은 크게 문헌해석과 수련자의 경험을 통계 처리한 量的 硏究, 그리고 고급 수련자의 내면세계를 현상으로 입증하는 質的 硏究를 병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문헌연구는 한문에 대한 지식축적이 전제되어야 하고, 설령 해석을 잘 한다 하더라도 수련의 체험이 부족하면 문자에만 매달리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내용과 수련자의 경험을 접목하는 방법으로 객관화를 시도하여 보고, 오늘날의 개념으로 이해되기 어려운 점은 심층면접을 통해 보충하기로 하였다.

     

1. 문헌 연구


상고시대(신라, 발해 이전)의 사상을 기록한 문헌으로서는 天符經, 三一神誥, 參佺戒經의 3대 문헌이 있었음은 앞에서 말한 바와 같다. 이중 天符經은 자연과 우주질서의 순환법칙을 난해한 용어로 정립하여 그 해석만 하더라도 천차만별이며, 또한 수련의 원리적 측면에서 본다면 다다르고자 하는 목적 수준을 제시한 것으로서 방법론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14)  때문에 일반적 내용만 인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참전계경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 등 대응관계 행동요령이 그 주축을 이루고 있어 “어떻게”의 내용은 희소하다고 할 것이다.15) 따라서 개인이 느끼는 수준과 방법은 참조할 내용으로서만 인용하고 「삼일신고」의 내용중핵심 수련원리를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왜냐하면 神誥에서는 주로 三神사상, 즉 하늘과 땅과 사람의 질서가 性, 命, 精으로 이루어진 현상과 본질의 삼분법에 기초를 두고 설명하기 때문인데,  오늘날 수련의 본질인 精, 氣, 神의 관계와 일맥상통하기도 한다. 덧붙여 방법과 사상이 가장 잘 수록되어 있는 문헌중  조선시대 권극중의 참동계 주해, 매월당 김시습의 수련법, 북창 정염의 용호비결 등 3사람의 수련법을 분석하여 삼일신고와 비교,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2. 질적 연구


삼일신고에서는 수련의 목적을 保精(정기를 보호하고), 知命(삶에 대한 통찰을 얻으며), 通性(본래의 참 본성과 통한다)에 두었고,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止感(감정을 그친다, 또는 감각을 추구한다), 禁觸(부딪힘을 금하며), 調息(숨쉬기를 고르게)을 제시하고 있다.16)

따라서 현대인의 수련 방법 핵심을 導引과 호흡, 의념으로 볼 때,17) 일정 수준 이상에 있는 사람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조선시대 문헌을 해석하여 이해를 돕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되었다. 더하여 導引體操의 본질, 호흡시 단계별 느낌, 생각을 끊고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등을 문헌과 비교하여 수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로, 수련이 일정단계에 다다른 사람은 결코 학문적 이해의 수준에서 논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체득하고 행동으로 실천하는 사람으로서 결코 거짓말을 하지 못한다고 한다. 氣質이 거울같이 맑은 상태이기 때문에 언어의 표현 역시 맑기 때문일 것이다.18)

심층면접 대상자 설정은 일정수준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학사 이상), 최소한 15년 이상을 수련에만 전념한 경력이 있으며, 학문으로 접근하는데 신비주의 경향을 가지지 아니하고,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종교적 편향성이 없는 사람을 선택하였다. 물론 본인의 동의를 얻어 현재도 계속 면접하고 있으며, 實名은 본인의 요청으로 기재하지 아니한다. 왜냐하면 실명과 직책이 공개될 경우 불치병 환자들의 집요한 요청으로 일상생활이 어렵기 때문이다.

대 상 자

주     요     경     력

偶  人

∙37세, 대학에서 동양철학 전공, 수련 경력 16년.

  현재 대기업 기획조정실에 근무

法  光

∙48세, 12세에 불가에 입문, 십년 수양 후 국선도 수련, 불도와 국선도를 혼합한 수련 28년,

  현재 창원에서 법조인 대상 수련지도

百  石

∙45세, 육군장교 출신, 대학 1년때 단학에 입문,

  수련 18년,  현재 산중 수련



제5절 연구의 범위 및 제한 사항


 연구를 함에 있어 가장 제한되는 부분은 대상에 대한 일정 범위의 설정으로 보았다. 인간이라는 생명체의 복잡다단한 氣質을 어느 범위로 놓고 진행할 것인가의 문제로서 수련에 대한 느낌도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아무리 오랜 기간 정석대로 하여도 진전이 없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시작과 동시에 강한 감각으로 느낌을 얻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논하는 내용은 보통사람이 단계대로 진행하는 경우로 한정하며, 이는 권극중이 제시한 세 계층의 기질을 가진 사람들19) 중 中乘圓明敎, 즉 중간단계의 사람으로서 건강이 어느 정도 보장되어 수련에 지장이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두 번째의 문제는 삼일신고라는 문헌이 학계에서 공식으로 인정하느냐의 여부이다. 삼일신고는 경전이라기보다는 천부경에 대한 해석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단군이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신화로 간주된다는 점에서 상고시대의 이념인 천부경에 대한 검증문제가 논란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20) 천부경이 1905년 묘향산 석벽에서 계연수에 의해 발견된 점, 1979년에 편찬된 환단고기에 첫 원문이 실린 후 위작 논쟁이 끊임없는 점, 대종교라는 민족종교 교단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점 등이 천부경에 대한 논란을 계속되게 하고 있다. 또한 천부경 그 자체가 수천 년간 이름이 없었고, 내용자체가 數理的 측면으로만 압축하여 놓았으며, 계연수란 인물이 묘향산 석벽의 글귀를 보고 어떻게 천부경이란 이름을 알았을까도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학계의 다양한 의문은 2002년도 10월에 고려말 두문동 72현 중의 한 명이고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등과 함께 6은으로 불린 농은 민안부 선생의 遺作에서 갑골문으로 쓰여진 천부경이 발견됨에 따라21) 역사학계의 의문은 깨끗이 해소되었다. 즉, 갑골문 자체가 1899년 중국 하남성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므로 그보다 650년이나 앞선 고려말 사람이 갑골문을 베껴 쓸리는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삼일신고의 서문을 쓴 발해의 대야발(대조영의 동생)이 단기고사를 저술함에 따라, 환단고기에 실린 단기고사를 천문학으로 분석하여 진위 여부를 판가름한 사실도 있고 보면 큰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22)

이에 따라 환단고기 자체를 위서라는 역사학계의 주장을 수용하더라도 천부경 자체의 진위는 판명났다고 보았고, 덧붙여 삼일신고는 인간 수행의 지침서라는 성격에 의해 논해볼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종교적으로 현대인들의 가치가 혼동되는 부분, 즉 천훈, 천궁훈 등 하늘에 대한 삼일신고의 정의는 수련분야에서는 특별한 가치를 가지지 아니하므로 소개 정도로만 그칠 것이다.



제2장 천부경과 삼일신고


 삼일신고는 천부경을 강독한 내용이라고 한다.23) 이의 해석은 여러 갈래로 나와 있으므로 별도의 해석보다는 수련적 측면에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우주를 조화와 교화, 치화의 3분법적으로 설명한 천부경은 數에 대한 철학적 개념이 이해되어야 하고 이를 언어로 풀이하는데는 수련의 깊이가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삼분법적 우주의 질서가 인간내면으로 작용할 때는 감식촉이란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를 하나로 통합해 가는 수련원리가 바로 삼일신고라고 보는 것이다. 여기서는 우주(창조) ⇒ 만물 ⇒ 인간의 영역으로 단계화 되어있는 내용을 분석하여 보고, 인간 내면의 본성을 찾아가기 위한 두 경전의 포괄적 내용을 고찰한 다음, 수련의 원리면에서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제1절 천부경


천부경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시작되어 왔는지는 전해지는 바가 없다고 한다. 단지 11대 단군도해 치적에 보면「神市는 환웅이 개천하고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여니, 이는 天經神誥에 祖術한 바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태백일사 神市本紀에 「옛 신시의 人文敎化는 근래에 전해지지 않으나 天經神誥는 후세에 전해진 듯하니 …」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한자로 기록되기 이전의 옛 경전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24)

여기서 인용된 천경신고는 천부경과 삼일신고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1925년 최치원(857 ~ ?)의 후손인 최국술이 편찬한 “최문창 후전집” 내 고운선생 사적편 업적을 논한 글 「단전요의」중에서 「태백산에 단군篆碑가 있다. 내용이 난해하여 읽기 힘들었다. 고운이 이를 한문으로 번역하였다」라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천부경은 오래된 경전이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농은 만안부 선생의 유작 가운데 갑골문으로 된 천부경이 발견됨에 따라 위 「단전요의」의 「篆碑」라는 의미가 곧 갑골문으로 쓰여진 비석을 뜻하는 것임은 근래에 인정하고 있기도 한다. 또한, 묘향산 석벽의 천부경을  1916년 계연수25)가  탁본으로 떠 서울에 보냈고, 그 내용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온 81자의 근원이 되었다고 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26) 고대로부터 전해져 온 경전임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의 정신 문명적 관점에서 본 천부경의 가치는 그 진위 여부를 떠나 數理的 측면에서 하늘과 땅, 사람의 이치를 기록한 내용이므로 이를 글로 해석한 삼일신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핵심내용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제2절 천부경의 핵심 내용 해석


천부경은 총 81자로 구성되어 있다. 글자의 뜻만 보아서는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대단히 난해하다. 철저하게 수리적 내용으로만 함축해 놓았기 때문인데, 數와 象에 대해서는 뒷장에서 논하기로 하고 선행 연구자들의 내용만 인용해서 그 핵심 사상만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一始無始一析三極無盡本天一一地一二人一三一積十鋸無匱化三天二三地二三人二三大三合六生七八九運三四成環五七一妙衍萬往萬來用變不動本心本太陽昻明人中天地一一終無終一⌟ 27)


위 내용은 계연수에 의해 발견된 묘향산 석벽본이다. 이를 대종교에서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단월드, 연정원 등 국내 일반 수련단체들도 이를 그대로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문자해석에 대한 각 단체의 견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왜냐하면 한자 자체에 대한 문장과 의미위주로 해석한 것이 있는가 하면 수행적 의미로서 풀이한 글도 있기 때문이다.

천부경의 핵심은 일(一)과 삼(三), 하늘(天)과 사람(人), 땅(地)의 개념으로서28) 한(韓)사상의 원류가 되었다고 하는 내용이 있는가 하면, 국내 수련단체인 연정원에서는 구조상, 숫자상의 의미, 체계와 질서 등을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여 삼(三)이란 곧 하나(一)로 돌아가는 근본이라 하여29) 하늘, 땅, 사람의 세 물질이 태초의 자리(一)로 간다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수련적 의미의 핵심해석은 단월드 창시자인 일지 이승헌의 개념이 좀 더 타당하다고 보여진다. 이는 하늘과 땅에 대한 우주적 담론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는 장기간 수련자, 백석의 경험론과 일치하기 때문이다.30)


「창조의 영역인 하나라는 개념은 최초 태허의 空함이라고 보아야 한다. 여기에서 움직임과 고요함이란 상대성의 조화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조화라는 개념은 운동의 확산과 수축이 진행되는 과정의 특성으로서, 부조화의 수면상태에서 깨어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이것이 창조의 영역과 변화의 영역인데, 인간의 인식수준으로는 제대로 설명이 어려우므로 神이라는 언어적 표현을 유추해낸 것이다.」


따라서 태초의 시작을 하나(一)로 보고 이에 대한 창조의 영역을 神으로 규정한다면, 이의 분화가 곧 삼(三)으로 나타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옛 기록의 數에 대한 개념과 오늘날의 數개념과는 차이가 있다고 보여지는데, 과거의 개념은 철학적이요, 현재의 개념은 이치적이라고 한다.31) 이에 따라 數에 대한 철학적 개념이 오늘날의 수학과는 어떠한 개념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제3절 象數의 개념


“道가 있으면 理가 있고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數이다”라는 말이 있다.32) 통상 우리가 순서를 정하는 하나, 둘, 셋의 숫자는 나열식이지만, 셈본을 위해 쓰는 아라비아 숫자는 1, 2, 3, ㆍㆍㆍ식으로 개체의 단위를 뜻한다고 하는 것이다.  形象化된 질량이 있는 물질의 단위로서 쓰여지는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그러나 數중에서도 象數란 개념은 형상화하기 이전, 물질로 존재하기 이전의 수를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33) 象의 뜻은 코끼리로 이해하고 있으나, 사실 의미요소로서의 원래 뜻은 생각, 즉 Image의 개념으로 보고 있다. 한자를 만들 때 중국인들이 본 적도 없는 코끼리를 본 사람들이 설명하는 내용을 듣고 “머리 속에 그린” 이미지인 것이다. 물질이 아닌 관념적 이해의 도구란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數를 말함에 있어 象數란 셈본의 이전, 질량화된 사물의 이전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보는 것이다. 周易 문왕 팔괘도에서는, 하나란 비물질적인 전체를 아우르는 말이요, 둘이란 물질 이전의 先天一氣가 분화된 개념34)이며 이로 인한 四象이 나온다고 설명하였다. 여기서 四象, 즉 넷이란 이미지로서의 분화된 개념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象이란 形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形이란 물질을 인간의 감각으로 느껴질 수 있는 것이라고 하면 象은 形이 기체화되어 감각으로 느껴질 수 없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따라서 모든 形은 象을 가지고 있는 바, 본질 이전의 매개체로 이해함이 쉬울 것이다. 따라서 象數는 數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철학적 실상의 본질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는 것이다. 하도나 낙서의 對對 개념적인 설명에 의하면 自然數를 분리하여 陰數(2, 4, 6, 8)와 陽數(1, 3, 5, 7, 9)등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陰數란 물질화되기 위한 무거운 數요, 陽數란 氣化된 상태의 가벼운 數로 음과 양이 합해진 수가 물질을 만들기 이전의 철학적인 자연수로 존재한다고 하였다.35)



제4절 삼(三)과 일(一)의 의미


삼일신고에서 말하는 三의 개념은 하나(一)의 신이 만물을 창조해 나가는 시발로서 삼태극, 삼원 등 물질 이전의 근원적 요소를 뜻하는 철학적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三의 개념이 神誥에서 말하는 性, 命, 精인지 感, 息, 觸인지 또는 天, 地, 人인지는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할 것이다. 다만 깨달음의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인간의 의미로 축소 해석하는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고 보여진다. 추론하면 우주의 본체에 대한 3가지 근본(三元)으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36)

따라서 빛과 파장의 형태로 본 三元은 빛의 3원색이나 물질의 구성인 十, ㆍ, 一등으로 이해가 가능한 것은 현대 물리학에서 밝혀낸 것과 같이 양이온과 음이온, 핵 등의 개념과도 일치한다고 보는 것이다.37)

하나(一)의 개념은 造化의 근본자리를 일컬음과 동시에 생명운동의 처음을 말한다고 한다. 아무것도 없는 無, 또는 虛의 세계를 0(空)으로 본다는 것은 곧 無極의 상태이며, 무극이 변화작용을 하는 세계는 太極과 皇極의 三極으로 分化된다고 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아리랑 모양의 3태극은 바로 이것을 상징화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0(空)이 우주창조의 본체이며 여기서 하나, 즉 물(水)을 창조하게 된다는 것은 우주의 진공이 一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는 것으로 이는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디렉의 설명이나, 아인슈타인의 「場이 극도로 강하게 집중되어진 공간 영역」에서 0(空)이 수소원자로 시작되었다는 말과 동일하다. 수소의 원소기호가 1(하나)인 점이나 주역 象數의 첫 시작이 1태극수라고 한점도 생명운동의 첫 시작을 뜻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38)

따라서 천부경에 있어서의 하나(一)와 셋(三)은 우주의 창조 본체에서 나온 생명운동의 첫 시발로서의 하나와 이것이 3요소로서 분화되어 역동성 있는 만물체계의 으뜸을 이룬다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39)

이러한 맥락으로 볼 때, 사람도 소우주라는 의미에서 몸과 마음과 기가 어우러진 全人的 존재로서 이루어졌다는 神誥의 내용은 분명 가치가 있다고 본다. 신고에서는 문장 전체의 의미로 볼 때 우주의 본체는 곧 인간의 미묘한 전체라고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5절 삼일신고의 포괄적 구성과 내용


삼일신고는 대체로 4가지 판본이 있다고 한다. 발해의 석실본, 천보산 태소암본, 태백일사본, 고경각 신사기본 등이다.40) 이들 네 종류는 모두 발해본으로서 묘향산 석벽본은 석실본과 내용이 동일하므로 현재 대종교의 교리와 수행의 경전으로 사용되고 있다.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66자로 이루어진 점으로 볼 때, 천부경의 수리철학 원리와 마찬가지로 우주변화의 오행과 지구의 관점으로 본 일련의 변화를 글자수로서 배열한 것 같다는 추론이 가능하다고 한다.41)

제 1장은 天訓으로서 우주세계를 하늘로 칭하였으니, 전통의 동양사상에 입각한 관점에서 보면 현묘한 조화의 절대자리를 설명하였다. 제 2장은 神訓으로서 종교적 객관 대상으로서의 신이 아닌, 인간 속에 내재한 밝음의 세계를 논하였고, 3장은 天宮訓으로서 인간의 관념 속에 절대자의 자리를 설명하는 논리로 이루어져 있다. 4장은 世界訓으로서 前 3개장이 형이상학에 대한 설명임에 반하여 물질계의 생성원리를 논하고 있다. 5장은 眞理訓으로서 인간에 대한 포괄적 분석을 제시한 내용인데, 수련적 입장에서는 아주 중요한 관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물질계 전체를 구성하는 세 요소를 性, 命, 精으로 하여 다차원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중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로서 생을 영위하는 것이 진화의 법칙에 있어 인간 스스로가 신이라는 철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1. 天訓


저 파란 창공이 하늘이 아니며 저 까마득한 허공이 하늘이 아니다.

하늘은 얼굴도 바탕도 없고 시작도 끝도 없으며, 위 아래 둘레

사방도 없고, 비어 있는 듯하나 두루 꽉 차 있어서 있지 않은 곳이

없으며, 무엇이나 감싸지 않은 것이 없다. 42)


2. 神訓


하느님은 시작도 끝도 없는 근본 자리에 계시며, 큰 사랑과 큰 지혜와 큰 힘으로 하늘을 만들고 온 누리를 주관하여 만물을 창조하시되 아주 작은 것도 빠진게 없으며 밝고도 신령하여 감히 사람의 언어로는 표현할 길이 없다. 언어나 생각을 통해 하느님을 찾는다고 해서 그 모습이 보이는 것이 아니다. 오로지 자신의 진실된 마음을 통해 하느님을 찾아라. 그리하면 너의 머릿속에 이미 내려와 계시리라.43)


3. 天宮訓


하늘나라에는 하느님의 집이 있어 언제나 빛과 사랑으로 넘쳐나고

밝고 신령한 기운이 감싸고 있으니, 오직 마음이 트이고 공적을 완수한

사람만이 하늘나라로 가서 하느님과 하나가 될 수 있다.44)


4. 世界訓


끝없이 널린 저 별들을 보라. 이루 셀 수가 없으며 크기와 밝기가 다 다르다.

하느님께서 온누리를 창조하시고, 우주 전체에 걸쳐 수백 세계를 거느리고

있으니, 너희 눈에는 너희가 살고 있는 땅이 제일 큰 듯하나 한 알의 구슬에 지나지 않는다.

하느님께서 온누리를 창조하실 때 중심의 거대한 기운 덩어리가 폭발하여

무수한 별들이 생겨나고 바다와 육지가 이루어져 마침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었다. 하느님께서 기운을 불어 넣어 땅속 깊이까지 감싸고 햇빛과 열로 따뜻하게 하여 걷고 날고 허물벗고 헤엄치고 흙에서 자라는 온갖 것들이 번성하게 되었다.45)


위 본문은 천훈, 천궁훈, 신훈 등으로 구분한 글을 그냥 인용한 것이다. 첫 문장은 하늘을 설명한 내용으로서 통상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물질로서의 하늘이 아닌 우주의 본체를 설명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천부경에 있어서 一始無始중 一을 설명한 것으로서 만물이 생성되는 근본자리를 일컫는 한편, 인간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는 언어의 유한성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동시에 하고 있다. 어떠한 사물이든 인간의 의식세계로 들어와 언어라는 고정된 틀로서 화석이 되어버리면 깨닫지 못한다는 의미를 함께 교육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독교가 전파되기 훨씬 이전에 이미 우주 창조론을 설명하는 내용이 매우 흥미롭다. 지구가 둥글고 하나의 별이라는 점, 우주는 대폭발(big bang)로 인해 시작되었다는 점 등은 오늘날 발달된 천문학 이론으로서도 겨우 알아낸 것임에도 과거 선인들은 이미 알고 있었다는 점이 바로 그러한 것이다.


5. 眞理訓


인간의 삶과 우주 만물은 다같이 근본이 되는 하나에서 나왔으며, 이 하나가 세 가지로 표현되는 것을 굳이 말로 표현한다면 본성과 생명과 정기이다. 사람은 이 세 가지를 온전하게 받으나 만물은 치우치게 받는다.

‘참본성’은 착함도 악함도 없으니 가장 밝은 지혜로서 두루 통하여 막힘이 없고, ‘참생명’은 밝음도 흐림도 없으니 다음가는 밝은 지혜로서 다 알아 어리석음이 없으며, ‘참정기’는 두터움도 엷음도 없으니 그 다음 지혜로서 만 가지 기틀을 잘 지켜 어지러짐이 없다. 따라서 누구나 근본이 되는 하나로 돌아가면 하느님과 하나가 된다.

뭇사람들은 미혹된 곳에서 세‘가지 망념됨이 그 뿌리를 내리니, 가로되 心과 氣와 身이라. 마음은 본성에 의지하는 것으로 선악을 이루나니, 착하면 복이 되고 악하면 화가 미친다. 기운은 생명에 의지하는 것으로 청탁을 이루나니, 맑으면 오래 살고 흐리면 쉬이 죽는다. 몸은 정기에 의지하는 것으로 후박을 이루나니, 두터움은 귀하고 엷음은 천하다.

참됨과 망녕됨이 서로 마주함에 세 갈래 길이 있으니 가로되 느낌과 숨쉼과 부딪힘이라. 이 세 가지가 굴러 다시 열여덟 지경을 이루나니, 감정에는 기쁨과 두려움과 슬픔과 성냄과 탐냄과 싫어함이 있고, 숨쉼에는 탁한 기운과 흐린 기운과 찬 기운과 더운 기운 마른 기운과 젖은 기운이 있으며, 부딪힘에는 소리와 빛깔과 냄새와 맛과 음탕함과 만짐이 있다.

뭇사람들은 착하고 악함과, 맑고 흐림과, 넘쳐남과 모자람을 서로 섞어서 이 여러 상태의 길을 마음대로 달리다가, 나고 자라고 늙고 병들고 죽는 고통에 떨어지고 만다.

그러나 깨달은 이는 느낌을 그치고 숨쉼을 고르고 부딪힘을 금하여 오직 한 뜻으로 나아가 허망함을 돌이켜 참에 이르고 마침내 크게 하늘 기운을 펴니, 이것이 바로 성품을 트고 공적을 완수함이다.46)


  제6절 소결론 (삼일신고의 수련적 의미)


  오늘날에도 진리훈에 나타난 인간의 해석은 풍부한 철학적 기초가 있어야 이해가 가능하다. 종교적인 차원을 떠나 본래의 자리를 인간 의식 저 너머에 있는 개념으로 하여 性 命 精으로 설정한 점, 그것이 인간의 육체에 작용하는 길이 感 息 觸이고, 이로 인해 心 氣 身이 생긴다는 본성의 영역에 대한 해부, 원래 자리로 가면 道의 수준에 이른다는 방법론, 이를 위해 지감, 금촉, 조식의 세 가지 수준을 제시한 점 등이 그러한 것이다. 그 중, 천부경과 삼일신고의 근본원리는 다음과 같이 볼 수 있을 것이다.

천부경

一神(절대, Spilitual)

창조

삼일신고

마음계(Mental)

본성

감정계(Astral)

생각

물질계(Body)

육체

[표 인용, 조하선, 베일 벗은 천부경, p131]


창조의 근본자리를 一으로 한 것은 농은유집 갑골문 천부경에 기록되어 있다. 태백 일사본에는 一으로 되어 하나가 셋으로 분할됨을 나타내었지만 갑골문 천부경을 근본으로 본다면 스스로 움직이는 세계, 一神을 태초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 본성의 자리인 마음이 생기게 되고, 이어 마음이 기초된 감정과 육체가 탄생하므로 수련의 근본은 몸과 마음을 이용한 창조의 세계와 하나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서술한 것이 제 5장 진리훈이다.



제3장 진리훈의 수련 원리에 대한 현대적 해석


제1절 三眞, 三忘, 三途의 개념


삼일신고 5장의 진리훈은 물질계의 인간이 정신계의 영역과 순수영계, 감정계 등 다차원적인 부조화의 존재임을 밝히고 있다.47)

근원

3진(三眞)

3망(三忘)

3도(三道)

하나

(一)

성(性)

심(心)

감(感)

명(命)

기(氣)

식(息)

정(精)

신(身)

촉(觸)

  [자료출처: 김영남, 역해 삼일신고, 서울, 하남출판사, 1991]


즉, 인간은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 全一的 존재로서 性, 命, 精을 근본으로 하고, 여기에 感, 息, 觸이 작용하여 心, 氣, 身의 형체로 나타난다는 것이다.47)

譯解 삼일신고를 인용하여 보면, 性과 命은 우주의 근본으로서 으뜸 되는 하늘의 근본자리를 命으로 이름하고, 이것이 인간에게 작용하면 性이 된다. 따라서 性에 의한 근본이 원래의 精으로 자리매김하므로 육체가 없는 인간의 근본 속성이 性 命 精이다. 여기에 氣가 작용하여 마음과 몸의 형체가 이루어진다고 하는데, 마음에는 감(感), 기에는 숨(息), 몸에는 부딪침(觸)의 길이 작용하여 오만 가지 번뇌와 어지러움으로 삶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48)

感, 息, 觸이란 길을 일컫는다. 즉 몸과 마음과 氣를 연결하는 외부 통로란 의미인데, 오늘날의 개념은 기능적으로 봄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49) 인간이 태어나면 보고, 느끼고, 기억하는 감각작용이 우선 생기게 되고 이에 따른 분별력, 즉 옳고 그름의 기준이 서게 되며, 이에 따라 마음의 상태가 호흡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감각의 인식을 나에 대한 본체로 알고 있는 感, 더 가지고 싶어하는 財物慾과 종족보전의 精慾, 가치보전의 名譽慾 등이 주변과 부딪치기 때문에 觸, 생명자체의 보존본능으로서의 息이 작용하여 心氣身이 어지럽다는 것이다.

心氣身의 개념은 인체에 대한 구조적 분류로 해석이 가능하다. 몸(身)이 있고 마음(心)이 있으며 이 둘을 연결하는 무형적 매개가 氣라는 것이다. 후한시대에 등장하여 당시대 末에 성립된 精, 氣, 神의 개념과 유사한데,50) 오늘날의 의미로 본다면 몸은 精과 氣가 합해진 것이고 마음은 氣와 神이 합해져 이루어진 것으로서, 삼분법이라기보다는 몸과 마음이라는 이분법에 氣라는 매개체가 상호 작용한다는 의미로 보면 될 것이다.51)


제2절 止感, 禁觸, 調息의 이해


 1. 일반적 견해


원래의 근본자리인 性命精으로 돌아가는 것이 수련의 핵심이며,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서는 감각을 추구하고(止感), 부딪침을 금하여(禁觸), 숨을 고르게 한 다음(調息) 근본이 되는 하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하였다. 다만 여기서 止感이란 감정을 끊는다는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감각을 추구한다는 의미가 더 강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수련을 진행할수록 육체중심에서 마음중심으로 전환되어 감각이 예민해지기 때문인데, 개발된 감각이 외부의 자연과 동화되어 갈 때 스스로가 진척되는 정도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52)


불교식 수련을 오래한 法光은 감정과 부딪힘의 원리를 이렇게 해설하고 있다.


「보통 인간이 태어나면 보고, 냄새 맡고, 맛보고, 듣고, 만지고, 인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것이 감각기관으로서 뇌에 저장되면 기억이 되는데, 기억으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좋다, 싫다, 아니면 더럽다, 추하다, 아름답다 등의 주관적 분별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분별력이 진리인 양 나름대로의 행동을 정하여 사물을 내 방식대로 판단하며, 대상을 움직이게 하거나 얻으려고 하기 때문에 마찰이 생성된다. 마찰이 투쟁이 되고 투쟁이 사회적 삶을 얻으려는 개체보전의 본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회적 갈등이 양산되고, 이러한 면에서 인간이 우매한 것이다.」


百石은 氣와 수련의 의미를 이렇게 정의하였다.


「육체와 정신을 둘 다 아우르는 개념이 氣이다. 따라서 氣는 육체의 감각으로도 느낄 수 있고 마음의 상태로서도 점검할 수도 있다. 마음이 또한 氣를 주관할 수도 있는 관계로 마음공부, 몸 공부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기수련이다.」


그 외에 淸濁이나 善惡, 厚薄의 개념은 설명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고 본다. 인간을 교육하는 목적에서 행동지침을 열거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또한 6가지씩으로 구분된 感 息 觸의 세부내용은 개념의 이해를 위한 내용이므로 별로 중요하지 않다. 핵심 수련의 원리는 위 세 가지로서 충분하기 때문이다.



2. 수련자의 견해53)


심층면접 대상자들에게 위 삼일신고의 性命精과 感息觸, 心氣身에 대한 개념을 토의한 결과 수련적 의미에서 인간의 이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구분

외부적

수련적

인체

개념적

사람

光(빛)

상단전

머리

영(靈)

音(소리)

중단전

가슴(폐)

혼(魂)

派(파장)

하단전

백(魄)


인체를 근본 되는 하나로 돌아가기 위한 3원은 두뇌와 가슴, 아랫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神을 담당하는 곳이 두뇌(머리)이고 氣는 가슴이며 精은 아랫배이다.54) 기능으로 보면 두뇌에서 모든 정보를 취합, 움직임을 지시ㆍ명령하고 가슴은 전달의 통로, 아랫배는 힘의 저장고이다. 전통 道家에서는 精이 氣로 변화하고(練精化氣), 기가 신으로 변화하는 練氣化神, 精氣神이 합하여 하나로 되는 것을 수련의 완성이라 하였다. 따라서 기본은 精의 수련이므로 이는 氣, 즉 좁은 의미의 육체 자체와 호흡으로서 통제 가능하다 하였다.55)


백석은 수련시 나타나는 세 원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빛과 소리, 파장의 3元에 대한 의미는 수련의 느낌으로서 이해되는 수준이다. 아랫배의 단(丹)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면 반드시 진동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 진동은 파장의 형태로 감지된다. 얼핏 겉으로는 조용히 앉아 움직임은 없는 듯 보이나 帶脈(허리띠 매는 허리주변)에서는 전류 같은 느낌, 옆구리 부위의 흔들림 등이 미약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 반면에 온몸이 덜덜 떨리는 경우도 있다. 최초의 호흡 수련시 나오는 반응으로서 인체의 중심점 에너지가 파장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파장이 가슴으로 올라 올 때는 소리로서 音의 형태가 된다. 실제 입에서 나오는 소리는 가슴의 에너지가 성대를 울리는 때이며, 소리를 통한 수련도 여러 가지 예에서 볼 수 있는데, 불교의 念佛이 대표적 경우이다. 음파를 통한 수련도 방법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우주적 공명현상을 이해하여야 한다.

 공명진동이란 물질의 고유파장을 이해하면 된다. 모든 물질은 고유한 파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누구나 알 것이다. 인간도 에너지의 근원이 파장으로 이루어졌다고 보면 소리를 내부적으로 진동시켜 육체를 그 파장이 진동토록 한다. 말하자면 물리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육체를 느낌으로 인지가 가능한 것을 일컫는 것이다. 암이나 당뇨 등 현대인의 불치병도 이러한 공명진동으로 간단히 치료할 수 있다.⌟


光, 즉 빛의 세계는 두뇌에서 나오는 느낌으로서 일정 수준에 이른 수련자들이 깊은 명상에 들어가면 보이는 세계이다. 빛의 수련적 느낌은 다음 장, 수련목적 性편에서 자세히 논하기로 한다.


제3절 수련 원리에 대한 체험적 분석

   

1. 保精의 의미와 방법


精氣를 보호한다는 뜻은 바른 몸과 바른 정신, 이를 연결하는 氣를 바르게 한다는 精氣神 論에서 알 수 있다. 精氣神의 개념은 중국 당대 말기에 도교의 개념을 정리하여 쓴 것으로서 그 근거는 「玉皇心因經」에 있다.56)  조선시대에 최초로 이를 언급한 사람은 김시습으로서 도교에서 주장하는 玄氣, 元氣, 始氣와 함께 설명하였으며, 유사한 뜻으로서 북창 정염은 形, 氣, 神으로 표현하였다.57)  신고에서의 精이나 도교의 精, 정염의 形은 추상적인 생명의 원동력 또는 그 생명력을 가진 몸이라고 이해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본다. 실제 百石의 입장에서 본 精은 「몸 안에서 몸을 지탱하는 생명에너지」로 이해하고 있으며 偶人은 「움직이고 생각하며 잠자는 행위의 근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신고에서의 精은 性과 命을 가두는 기본자리이므로 精이 없으면 性과 命도 존재할 수 없다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保精의 개념은 몸을 철저히 보호하여 생명활동에 지장이 없게 한다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핵심은 음식과 호흡을 조화롭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偶人은 동양철학적 개념으로서 精을 형이상학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글자의 뜻풀이에서 보듯 精은 쌀(米)과 호흡(靑)의 결합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한국인의 음식을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하여 보면 쌀과 콩이다. 쌀은 산다의 명사인 ‘살음’서 파생된 말인데, 음식에 대한 조화로운 섭취를 위하여 선조들이 붙인 이름이다. 현대의 입장에서는 영양학에 대한 연구일 텐데, 분석적이 아닌 본질적인 면에서 볼 때 水氣와 火氣의 결합된 열매가 쌀이다. 벼는 물에서 자라고 열매 또한 물의 결정체로서 이는 태양에너지, 즉 火氣의 영향으로 열매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체의 구성이 물(水)과 불(火)로서 이루어졌다고 본다면 쌀 자체가 물과 불의 결정체인 관계로 쌀은 인체와 동일한 원소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콩은 소금과 합하여 간장과 된장의 주원료인데, 이의 발효식품이 우리의 부식인 것이다. 콩은 그 생김새가 太極이 분리된 陰陽의 모습을 띄고 있으며 외부 막으로 싸여 있으니,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 즉, 하나가 둘로 되었으되 이를 분리하지 아니한 것이니 음양과 태극을 형상화한 음식이다. 실제 渤海에서 생산된 콩을 수출하는 강 이름이 豆滿江으로 명명된 것을 보아도 우리의 에너지원은 고대로부터 콩이었다. 몸을 이르는 말인 體는 뼈(骨)에 콩(豆)이 모양대로(曲) 붙어 있는 형상을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몸 수준으로서 精수련의 목표는 건강을 이루자는 뜻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호흡은 숨쉬기이다. 精이란 글속의 푸를 청(靑)이란 외부 에너지, 하늘 중에서도 탁기가 걸러진 맑은 에너지를 뜻하는 것이다. 이는 허파로 숨을 쉬는 폐호흡뿐만 아니라, 피부로 숨쉬는 피부호흡까지를 일컫는 말이며 외부 에너지와의 교환을 뜻한다고 보면 되겠다. 대개 일반인들은 숨쉬기의 깊이에 따라 건강상태를 측정 할 수 있는 바, 가늘고 깊으면 평온한 상태고 급하고 빠르면 불안정한 상태이다. 이것은 음식과 상호 보완관계를 이루는데, 음식으로 배가 부르면 호흡은 짧고 공복상태가 되면 호흡은 길어진다. 따라서 음식과 호흡,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루면 精은 보전되며, 이상적인 건강상태가 되는 것이다.」


法光은 精의 보전을 인체의 구체적인 형태로 증언하였다.


「精을 보전한다 함은 형이상학적 개념으로서의 에너지 보존이 아니라, 남녀를 불문하고 精液을 탕진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옛말에는 정액을 골즙이라 하였으니, 뼈 속에 농축된 에너지가 물질화된 액으로서 표출된 것이 정액이다. 현대인은 이를 쓰면 쓸수록 보충된다는 의미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관념이다. 수련 경험에서 본다면 분명 육체는 제한된 양의 정액을 보유하고 있다. 한방에서 인체 중 오장을 논할 때 신장을 가장 중요시 하고 있는데, 신장은 뼈(金氣)를 주관하고 뼈는 인체의 호르몬 일체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五行상으로 金은 水를 생산한다고 하였는데, 뼈는 金이고 호르몬은 水이므로 경험상으로나 학문상으로나 이치에 맞는 말이다. 素女經에도 이르기를 長生不死의 도는 接以不漏라 하였으니, 교접하되 사정하지 말라는 것이다. 이는 乾坤, 즉 남녀의 기운만 상호 취하라는 뜻이므로 精의 보전은 과도한 房事를 하지 말라는 뜻이다.」


두 사람의 수련자는 精의 보전에 대해 형이상학과 이하학적인 태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 수련의 전개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종의 戒律인 셈인데, 중국 도가의 陳治虛가 말한 몸, 마음, 뜻의 세 가지 중요한 요소를 바르게 간직하는 것이 정의 보전이라는 견해도 또한 위의 내용과 함께 설득력이 있다. 즉, 진치허는 성적 욕망을 자제하여 몸을 굳게 지키라는 해설을 덧붙였는데, 문제는 오늘날 일반인들의 상식상으로 육체의 욕망을 자제할 때 생기는 생리적, 심리적 부작용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이다.

여기에 대해 권극중은 명쾌한 해답을 제시한다.


「보통사람으로서 욕망이 치성한 자가 억지로 정액의 누설을 막으면 오히려 병을 일으킨다. 그러나 마음이 청정한 자는 정액이 가득 차더라도 누설하고 싶은 생각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精이 가득하면 色慾이 일어나지 않고 氣가 가득하면 食慾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이다.」58)


실제로 이러한 상태가 가능한지 凡人들은 의문이 가지만 조금이라도 수련의 깊이에 들어가 본 사람은 이해가 된다고 한다. 폐병환자가 유독 색욕이 많다든지, 고승들이 양기를 누진통으로 전환 시켰다든지 하는 내용들은 상식으로 알 수가 있는 것이다. 실제 法光은 정액에 대한 놀라운 경험을 예시하고 있는데, 그에 의하면 일반인을 대상으로 100일간의 禁慾, 黙言 및 丹田呼吸을 병행시켜 수련을 한 다음, 교접의 결과를 들은 일이 있다고 한다. 기혼자에게 100일 수련 후 房事를 진행한 다음, 변화를 의무적으로 보고토록 한 결과 정액이 일반인의 것과는 달리 연어 알보다 더 작고 빛나는 구슬형태로 되었다는 것을 들었다는 것이다. 물론 수련과정상 체험을 유도하기 위한 방편이었지만, 억지로 참는 것보다는 수련시의 효과가 이런 것이라는 스스로의 감각을 더 중요시하였기 때문에 행한 것일 것이다. 덧붙여 스님들의 다비식 이후 나타나는 “사리”가 결국 이러한 형태의 精이 굳어지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겠냐는 나름대로의 가설도 제기하였다.


百石은 精의 보전에 대해 “음식 위주의 삶에서 호흡위주의 삶”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른길이라고 하였다.


「몸을 지탱하는 것이 먹음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그러나 먹음을 위한 삶은 육체에 뿌리를 둔 감정의 제거가 매우 어렵다. 동물적 삶의 본능인 생존자체, 종족번식에 목적을 두고 살기 때문에 인간의 가치가 점점 퇴락하기 때문이다. 실제 매슬로우 박사의 인간욕구 5단계 중 가장 하위단계가 생존의 욕구이고, 경제적 삶의 지표로 통용되는 엥겔지수라는 것도 살기위해 먹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냉정히 생각해 보면 음식으로 생산되는 精의 에너지는 몸의 움직임으로 소비되고, 몸의 움직임은 또다시 음식의 획득을 위해 활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의 근원적 변화가 호흡을 통해 받아들이는 순수한 精氣를 통해 이루어질 때 인간본연의 삶인 가치보전을 위해 사람은 움직일 것이다.

정이 가득하면 不思色, 氣가 장하면 不思食, 神이 밝으면 不思垂라 하여 수련이 진행되는 단계에 따라 색욕과 식욕, 수면욕이 사라진다고 하는 고금의 진리를 되새겨 보아야 한다.」

  

요컨대, 保精의 핵심은 음식과 호흡을 바르게 하며, 色慾 자체를 생각나게 하지 않고, 이어 음식에 대한 욕심을 통제하는 淸靜無爲의 삶을 사는 것이라고 귀결되어질 수 있다.

 

2. 知命과 氣의 정의 및 방법


命이라고 함은 運命, 壽命 등의 용어에서 보듯 태어나서 죽음까지에 이르는 삶의 총칭이라고 이해되어 진다.59)  삶 자체를 주관하는 본질적 요소를 알아야 한다는 개념으로 이해되는데, 통상 性과 함께 쓰여져 性命(개인의 이름)으로서 오늘날까지 언어의 형태로 개념은 남아 있다. 神誥에서의 命과 수련실체론에 있어서의 氣, 또한 氣의 외부적 형태인 音의 비교분석을 통해 命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적인 의미로서는 性命精이 圓方角으로 표현된 내용이나60) 精氣神, 光音波 등의 의미로 볼 때 命의 핵심은 氣임을 알 수 있다. 하늘이 인간에게 내려준 원래의 命을 元命으로 한다는 신고의 내용으로 보아, 元命이 흐리고 맑은 것은 호흡으로 들어오는 氣의 質에 따른다고 하였다. 따라서 氣의 모임이 생명이고 흐트러짐이 죽음이라는 長子의 관점과도 일치한다.61)

命은 곧 生命이므로 이를 주관하는 氣란 과연 어떤 개념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신고에서 제시하는 氣의 개념은 넓은 의미에서의 感, 息, 觸을 陰氣로 하고 心氣身을 陽氣로 하는 포괄적 개념의 氣가 있는가 하면, 좁은 의미로서의 육체 내부를 움직이는 근원적인 에너지로서의 氣가 있다고 하는 것이다.62)  생명의 파장은 본래 자리에 위치하는 참된 명(命)의 밝은 부분과, 호흡으로 들어오는 탁한 명의 어두운 부분이 합해져 파장이 이루어진다고 할 때 그 파장을 좁은 의미로서의 氣라고 하며, 氣란 곧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근원 요소인 것이다.63)

그러나 중국 道家에서의 氣 개념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개념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道를 통하는 수단으로서의 氣가 오늘날의 개념이라면 과거의 氣 개념은 “우주를 총괄하는 에너지로서의 그 무엇”이란 뜻이 더 강하다고 보면 될 것이다.64)

孔子는 생활 속의 氣, 孟子는 浩然之氣, 노자는 萬物生成之氣, 長子는 離合聚散의 氣 등으로 그 개념을 표현하고 있으며, 실제 오늘날 사용하는 개념으로서는 장자의 개념을 원용하고 있다.

“사람의 태어남은 氣의 모임이다. 氣가 모이면 삶이 되고 흩어지면 죽음이 된다. ... <중략>... 그래서 옛말에도 천하를 통해서 오직 一氣뿐이라고 했다.”65)

이로 미루어 보건대 오늘날 氣功이란 이름으로 연구 및 수련하는 사람들이 정의하는 氣란 대략 다음과 같다.66)

1) 형이상학적 정의

① 시간과 공간에 구애됨이 없는, 우주에 충만한 전일적 요소이다.

② 물질이 기로 전환되고, 기가 물질을 생성하는 중간적 요소로서 無와 有의 매개체이다.

③ 물질 속에 기가 있고 비물질 속에 기가 있으며 기속에 물질과     비물질이 다 존재하는 交互 결합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④ 사람, 동물, 식물 등에 의해 움직임을 주도하며, 움직임은 순응하는 대로 성장, 확산되고 축소되는 등 형태를 변화시킨다.

⑤ 인체의 기는 마음의 근원적 요소이나 마음 그 자체는 아니다.

⑥ 인체가 주도하는 감정도 기이며, 이는 생각에 의해 형상화된다.

⑦ 기의 성질, 즉 기질은 흡수 또는 추출되는 물질의 법칙도 가지고 있으며 변화에 따라 차원을 달리하는 성질도 있다.


2) 물리학적 견해

① 전기와 磁氣, 즉 생물의 場을 구성한다.

② 오라 광선에 의해 컬리언 사진에 나타난다.

③ 모종의 신호와 미립자를 띤 특수한 적외 전자파이다.

④ 전기를 띤 미립자의 연속된 흐름이다.

⑤ 세포 속 액정체의 진동파이다.

⑥ 인체 고립파의 연속된 흐름이다.


고전적 견해나 현대적 의미로서의 기란 결국 인간이 의식하고 감각하는 모든 에너지의 결정체로서 생명을 주도하는 것이라고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氣로 이루어진 인간 스스로가 氣를 알 수 있기에 만물의 영장이라는 정의도 가능한 것이라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偶人은 신고에서 제시하는 命의 올바른 이해야 말로 난무하는 사이비 수련단체에게 주는 경고라고 말하고 있다.


「근본원리인 知命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氣만 수련하면 천년만년 살 수 있다거나, 초능력을 얻는다거나 하는 잡술에 얽매이는 것이 얼마나 무지한 것임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氣란 호흡으로 들어오는 탁함을 제거하고 천지의 일부로서 참 “나”의 근본을 이루는 것으로서 형이상학, 형이하학을 모두 포함하는 것인데, 단순히 숨쉬기만 고르게 한다고 해서 건강을 찾는다든지, 체조만 하여 육체를 건강하게 보전한다든지 하는 지엽적인 것이 아니다. 명(命)의 인체내 자리매김 하는 곳은 마음(心)에 있는 고로 마음수련과 몸 수련을 병행하여 고른 호흡을 이룰 때 성통공완(性通功完)하는 것이다.」


3. 通性의 개념


신고에서 말하는 性과 고대 중국에서의 性(이때는 性理學), 조선시대 양명학(陽明學)에서의 성의 개념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67)  또한 현대인의 인식 속에 있는 性은 과거의 개념을 편리하게 인용하였음에도 sex의 개념으로 굳어버린 느낌이 있다. 道學者들이 말하는 성은 인간이든 물질이든 간에 내재하고 있는 근본 자리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불교에서의 見性(‘참나’를 봄), 사물의 물리학적 俗性 등에서 그 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 사서삼경 중의 하나인 大學에서는 그 첫 머리에 天命之爲性이라 하여 “하늘이 내려준 命을 인간에게 적용할 때 이를 性이라 한다.”고 하였다.

권극중의 性命 쌍수론이나 仙丹 호수론 등도 性과 命을 거의 같은 수준으로 논하고 있으나 수련적 의미에서는 셋이 하나를 포함한다는 신고에서의 性과 精氣神론에 있어서의 神이 거의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68)


수련의 목적이 通性이라면 약간 의아할 부분도 없지 않으나, 神誥에서는 공완을 위한 최종 수련이 性을 통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性은 수련적 의미로 본다면 「빛」의  세계를 경험하는 것이다. 실제, 차원을 달리하는 氣체험은 빛의 느낌, 즉 두뇌가 환하다는 느낌으로밖에 표현할 길이 없는데, 뒷장 수련 방법론에서 서술하겠지만 性을 통하는 개인의 느낌은 Big Bang이다. 개인이 느끼는 수준은 대폭발의 형태로 오는 경우도 있고 은은한 무지개 빛 형상으로, 또는 출렁거리는 형태로 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法光은 이에 대해 최종목적으로서의 빛의 경험이 아니, 진행단계로서의 느낌 세계를 분명히 이야기 하고 있다.


「법당에서 보는 그림 중에 머리위의 뱀을 그린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수련 중에 나타나는 느낌을 형상화한 것인데, 전정(前丁)혈과 백회(百會)혈69) 사이로 순서를 바꿔가며 맥박이 뛰는 듯한 느낌이 오는 것을 뱀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실제 머리위에서 뱀이 또아리를 튼 듯한 움직임으로 감각이 오는데, 그것이 두뇌의 표피부근에서 최초로 움직이다가 점점 두개골 속으로 파고드는 묵직함으로 다가온다. 골치가 아프다는 식의 아픔이 아니라, 시원하면서도 묵직한 그 무엇인데, 이것이 이마 앞 인당(印堂)혈까지 연결되다가 이후 “번쩍”하는 폭발의 형태로 온다. 폭발은 하얀 빛의 세계가 우주를 감싸는 듯한, 천지를 포용하는 형태이다. 이후 너무나 고요한 적막의 세계가 도래하는데, 내가 빛인지 빛이 나인지 구분되지 아니하는 상태이다. 아마 이것이 신고에서 말하는 通性의 형태가 아닌가 한다.」


偶人은 性, 즉 빛의 세계로 가기 전의 수련 느낌을 백회혈에서 새가 걸어가는 듯한 맥박의 뛰는 느낌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등 뒤의 독맥에서 연꽃이 피어오르듯 후끈거리는 열기의 확신이 있은 후, 머리 뒤에서부터 마치 전류에 감전된 듯한 느낌이 있게 된다. 지르르하면서도 상쾌한, 마치 샤워꼭지의 물줄기가 톡톡 터지는 듯한 감각인데, 이 느낌을 가만히 주시하고 있으면 정수리 백회혈 좌우측에서 맥박이 뛰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한군데서가 아닌 정확하게 두 군데서 번갈아 가며 뛴다. 마치 새가 걸어가듯 똑, 딱 하며 볼록거리는데, 점차 표피에서 두뇌 속으로 깊게 들어가는 것이다. 이후에 북이 울리듯 두뇌 전체가 텅 빈 듯한 상태에서 웅~ 하는 공명이 있거나 기차가 굴러가는 소리도 들린다. 또한 귀에서 고주파가 발하는 윙하는 소리도 들리기도 하는데, 모든 것이 두뇌를 환하게 하기 전의 징조인 것이다. 폭발이 있는 사람도 있지만 그냥 환해지는 경우도 있다.」

백석은 마음의 근본자리로 들어가 경험한 우주와의 일체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빛의 세계 다음으로 경험한 것은 절대의 세계이다. 이는 우주창조와 인류창조의 근본자리 정도로 이해되는 수준이다. 언어로 표현하기는 힘들지만 굳이 말로 한다면 원래부터 내가 있어온 자리였다고 보면 될 것이다. 여기서 빛의 의식체가 조화와 부조화의 양극으로 대립하여 이를 조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생성해 내는데, 이것이 삼라만상이다. 인간은 그 속에 내재된 빛의 부조화로 인해 생각, 사념, 물질육체의 본능 등이 작용하여 뭉쳐졌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는 존재인 것이다. 수련을 통해 보면 빛의 세계가 다극화로 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고 이것이 창조의 법칙임을 이해하게 된다. 굳이 머리로 이해하려 들지 말고 그냥 관조하면 내가 곧 우주라는 깨달음의 경지가 오는 것이다.」


法光이나 偶人, 백석이 경험한 빛의 세계는 현재 “뇌 호흡”으로 일컬어지는 국내 어느 수련단체의 수련목적 단계와도 일치한다. 즉 뇌자체가 하나의 하늘로서 인간 속에 내재한 一神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며 또한 동학사상이 제시하는 人乃天의 개념과도 상통한다.

참 본성과 통한다는 것은 언어 이전의 세계로서, 이는 어머니의 자궁 이전, 생의 끊어짐 이후가 시간의 연속성 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즉, 삶과 죽음이 구분되어진다는 것은 인간의식의 인지활동으로서 원래부터는 없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실제, 티벳 매장경의 하나인 “사자(死者)의 서(書)”에 의하면 죽음이 오는 순간을 빛의 인식으로부터 시작한다고 하였는데, 밝고 환한 빛을 포함하여 일곱 가지 빛의 색이 순서 없이 드러나다 어느 한 빛으로 녹아들어 간다고 하였다. 이는 두뇌의 영적 파장이 일치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70)

또한 독일의 심리학자인 칼 융은 「사자의 書」에 대한 해석을 달면서 그 스승인 프로이드의 공적과 한계를 동시에 논한 다음, 무의식의 빛의 세계를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의 관점으로 논하였다. 해석 서문에 의하면, 「심리학은 인간감정의 근원적 의문에 대한 출발점이지만 육체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무의식의 세계는 자연과 인간, 3차원과 4차원을 연결시키는 세계로서 내재된 영원과 차원을 달리하는 세계이다. 따라서 무의식이 지배하는 시공간의 내면세계는 삶과 죽음의 경계자체가 무의미해진다. 즉, 죽음이란 무의식이 존재하는 빛의 공간이므로, 살아있는 사람들이 논할려면 깊은 명상상태에서 경험하는 초월의식의 인식이 필요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즉, 두뇌에서의 性을 깨우치는 세계는 의식 저편의 빛을 경험하고, 시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존재의 존재를 느껴야 하는 것으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제4절 수련적 의미에 대한 몸과 수련단계

   

1. 수련적 의미로서의 몸



  가. 일반적 의미


통상 수련의 갈래를 두고 몸 중심이니 마음 중심이니 하여 구분을 두는 경우가 많다. 국내 어느 단체는 마음수련원이라 하여, 근본되는 자리를 참마음에 두고 부정적인 마음을 잘라내는 방법을 쓰고 있다. 참마음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마음속에 칼을 심고 그 칼로서 감정의 부정적 상태를 잘라낸다는 자기 최면요법인데, 수련자들은 효과가 있다고 증언한다.71) 또한 몸을 이용하여 마음자리로 돌아가는 국선도나 단학 등도 몸과 마음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모두 다 옳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수련을 위한 설명이거나 초보자들에게 개념을 주입하기 위한 방편인 것이다. 그러나 좀 더 정확한 개념을 위해서는 몸과 마음의 구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본다. 즉, 인간이 자신을 혁명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주체와 대상이 있는 것임을 알아야 하는 때문이다.72)

수련에서의 주체는 물론 마음이다. 마음은 무언가를 대상으로 삼아 자기를 변화시킨다. 그 변화의 대상이 바로 몸인 것이다.73)

수련이란 몸으로 시작해서 몸으로 끝나는 것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왜 그런가 하면 몸이 전부여서가 아니라, 몸은 무한 小의 영역에서 무한 大의 영역으로 가는 발판으로써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것이 몸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기준으로 삼아 모든 사람이 깨달음이라는 목표에 이를 수 있다. 그런데, 현대인들이 잘못 생각하는 개념 중의 하나가 몸 자체가 “나”이고 몸은 “내 것”이라고 생각하는 오류이다. 몸은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일시적으로 점유하고 있는 것이지 소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수련적 의미로서의 몸은 땅으로부터 잠시 빌려 쓰고 있는 점유물인 관계로 깨끗이 사용한 다음 돌려주어야 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내 것”이란 개념자체가 오류라고 보는 것이다.74)

百石은 우주와 인체, 수련에 관해 몸에 대한 관점을 돌리라는 의미로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고 있다.


「우주에는 축소하는 만큼 확대하는 힘이 있다. 그 힘은 모든 존재하는 만물에 다 있다. 작은 겨자씨, 먼지 하나에도 우주를 담을 수 있는 큰 힘이 있는데, 하물며 인간의 몸은 두말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 우주의 팽창과 축소하는 힘이 인간의 영역으로서 볼 때는 들어오는 숨과 나가는 숨이다. 따라서 몸 자체가 우주의 원리대로 자연스럽게 돌아갈 때만이 자신을 혁명할 수 있는 기초가 됨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몸 저편의 세계에 도달한 이후에는 어느 누구도 감히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 너머에는 언어도 없고 감각도 없다. 참으로 不立文字(감히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의 세계인 것이다. 우리가 수련에 대해 끝없이 말하고 글로 쓰는 것은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이지 깨달은 이후를 말하고자 함은 아닌 것이다. 저 너머의 영역은 각 개인의 그릇에 따라 달리 세워지고 느낄 뿐이다.」


나. 몸의 에너지 통로, 명문과 삼초


한방에서는 대체로 인체를 큰 틀로써 보되 징후학과 활동의 개념위주로 보고 있다. 그 중 인체의 활동을 대체로 구분하여 보면 섭취, 대사(물질동화), 배설의 세 가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다. 섭취는 음식과 호흡, 대사는 소화활동, 배설은 똥 ․ 오줌 등이다.75)

이 세 가지를 작용시키는 근본 에너지를 焦라 하는데, 태운다는 의미이다. 열량을 에너지라 함은 물리학의 개념이거니와 인체의 활동도 열량, 즉 태움에서 시작되는 관계로 焦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것이 윗부분, 중간부분, 아랫부분에서 동시에 작용하는 관계로 상초, 중초, 하초를 합하여 三焦라고 이름 붙여졌다.76)

 해부학적으로나 혈자리 관계로 보아서는 3초의 부위가 명확하지 않다고 한다. 많은 한의학자들도 나름대로의 근거를 가지고 부위를 설명하고 있으나 검증된 것은 아니고, 단지 횡경막을 기준으로 하여 상초나 중초를 구분하고 있으며, 중초와 하초는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고 할 뿐이다.77)

법광이 증언하는 몸의 에너지 통로로서 삼초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三焦를 수련적 의미에서 본다면 두뇌, 가슴, 아랫배의 부위를 총칭한다고 보면 될 것이다. 그러나 인체의 구조적 삼분법이 아니라 기능적 분류이다. 따라서 삼초 중 상초는 섭취를 담당하는 기능이다. 섭취는 외부로부터의 호흡과 음식뿐만 아니라, 감각작용의 오관(눈, 입, 코, 귀, 촉)이 여기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인데, 신고의 입장에서 말하는 性이 위치하는 곳이다. 따라서 上丹田이라고 하며 느낌의 초고감도 세계로서 초월의식, 무의식 또는 명상의 수단이 되는 곳이기도 하다.

중초는 가슴, 즉 命이 위치하는 관계로 요즘 말하는 마음자리이며 중단전이라고 한다. 실제 감정의 변화가 급작스레 일어날 때는 가슴 부위부터 먼저 느끼는데, 심장이 쿵쾅거린다든지 간이 오그라들었다든지 속이 상했다는 등의 일상용어적 표현은 모두 중초, 즉 가슴부위가 잘 타지 못하여 찌꺼기가 남아있는 형상을 말하는 것이다. 命이 외부에너지와 통하는 통로를 한방에서는 명문이라고 하고 용어적인 의미에서 본다면 생명이 들락거리는 문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실제 기능적으로는 인체의 앞부분에서 행하는 구조이지만 주관하는 자리는 등 쪽이다. 命門을 연다는 의미는 등 뒤 허리부터 견갑골까지의 척추 좌우측이 부글부글 끓으면서 따뜻한 기운이 퍼져 올라가는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경험이 없으면 표현하기 힘들다.

下焦는 꼬리뼈 부근부터 아랫배 전체를 총칭하며 하단전의 의미이다. 동물적 몸의 기능만으로 이해하면 배설을 담당하는 곳이지만, 수련적 의미로는 하늘 기운과 땅 기운이 모두 합하여 사람기운을 만드는 곳으로서 대단히 중요하게 여기는 부위이다⌟.


위 내용으로 유추해 보건대  일상용어에서도 보듯이 하초가 약하다는 뜻은 精力(sex의 에너지)이 부실하다는 의미이고, 이는 인체에너지의 중심이 虛하다는 의미이며, 신고에서 말하는 精이 충실하지 못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78) 실제, 프로이드 심리학에 있어서 핵심에너지를 Libodo(리비도), 즉 성적 에너지라 하여 인간 활동의 중심이라고 한 것은 하초의 개념을 분석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써, 칼융이 스승인 프로이드를 비판한 것도 사람이 全人的 存在임을 간과하여 한 가지만 본 것을 비판한 것이고, 그 자신이 주역에 심취하였던 관계로 인간의 내면적 속성인 神과 氣를 이해한 수련 의미를 알았기 때문이다.79)



2. 단과 단전에 대한 이해


丹은 붉음을 뜻하는 용어이다. 우리말로는 밝음을 일컫는데, 하초, 즉 아랫배의 느낌상으로는 뜨겁다가 환하게 밝아진 다음, 복부 내에서 계란 또는 메추리알 정도의 형태로 감지되어진다.

용호비결에서는 이를 중궁이라고 하였고 하늘과 땅의 기운이 합해지는 곳이라고 하였다.80) 구체적으로는 배꼽 아래 부위인데, 생리학적으로는 이해하기 어렵다. 단지 느낌상으로 인체의 하복부, 모제 등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수련원리에 대한 구체적 지식이 없이는 모든 설이 다 맞다고 할 수 있다. 주역 참동계에서 이와 관련한 명확한 도해를 제시하고 있는데, 바로 문왕 팔괘도에 의해서이다. 즉 사상이 8괘를 낳는다고 할 때 그 8괘의 위치가 아랫배 전체를 일컬으며, 생리학적으로는 횡경막 아래서부터 성기의 뿌리, 즉 음모가 시작되는 부분을 감싸는 원 형태이다. 따라서 단이 위치한 아랫배 전체를 아래 단의 터전, 하단전이라고 하며 그 속에 위치한 핵심을 陽중의 陽이라고 하여 태양이라고 한다. 물론 하늘에 있는 태양을 뜻하는 말이 아닌, 내 속에 있는 생명력․핵심․씨앗을 뜻하는 말로서 하늘의 태양과 구별하기 위해 단이라고 표현한 것이다.81)

실제 偶人은 단에 대해 일반인이 감각을 쉽게 체득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하늘의 태양을 마주보고 서서 눈을 감아보면 단의 느낌을 알 수 있다. 눈 주위 모든 면이 상당히 붉은 색을 띄고 막을 드리운 형태로 드러난다. 가만히 붉은 빛을 바라보고 있으면 붉은 빛이 점차로 노란색으로 변해간다. 노란 부분을 계속해서 바라보면 하얀색으로 변해 가는데, 빛의 형태가 인체와 동화되어 가는 과정이다. 즉 온도가 높은 불일수록 흰빛이고 가장 낮은 열이 붉은 색임은 누구나가 아는 것처럼, 인체 내 단의 형성도 뜨겁다가 밝은 빛의 형태로 간다. 무겁지도 않으면서 힘이 있는 형태로 되는 느낌으로 오는데, 內觀의 경지가 되면 빛의 덩어리가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法光도 유사한 형태의 느낌을 말하면서 요가에서 말하는 챠크라 그림을 예시하고 있다.


「아랫배에 뱀이 또아리를 튼 그림이 단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내용이다. 수련의 과정을 보면 음식과 호흡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데, 통상 음식을 많이 먹으면 호흡이 짧아지고 공복상태에서는 호흡이 깊어진다. 음식으로 배를 채울 때의 느낌은 그냥 “부르다”는 만족감뿐이지만, 깊은 호흡으로 아랫배를 부풀려 호흡의 끝이 배꼽까지 온다는 느낌이 있을 때는 압력의 형태감으로 느껴진다. 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배꼽 아래에서 꿈틀거리는 느낌이 계속된다. 마치 또아리를 튼 뱀이 움직이는 느낌이다. 아마 요가의 그림에서 드러난 뱀의 형상은 이런 느낌을 형상화한 것일 게다.」


구체적인 형태로서의 느낌이지만 이러한 경우 대개 수련의 초보과정에서 느끼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보아 단과 단전의 위치는 상, 중, 하라기보다는 하단전, 즉 아랫배 부근이 인체의 중심이 되는 관계로 수련자들이 알파와 오메가로 표시하는 게 아닌가 싶다.



3. 마음과 육체간의 상호 관계


정기신론에 의하면 인체의 무형적 에너지가 기와 신이다.82) 즉, 몸과 마음은 기라는 중간개념에 의하여 조정하고 통제 받는다는 의미인데, 마음이란 ‘마’, 즉 참 또는 뿌리라는 의미와 ‘움’, 씨앗이라는 뜻이 ‘음’으로 바뀌어 결합된 용어로서 「뿌리가 되는 첫 씨앗」이란 의미로 해석된다.83)

단순한 하나의 개념이 아니라 순수한 본래의 씨앗적인 마음과 육체가 서로 만나 육체를 이기지 못하는 섞인 마음, 서로 만나 육체를 이기는 이성적 마음 등이 서로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섞인 마음은 불순물로 가득 차 있다고 보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련을 “닦는다”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여기 있는 것이다.84)

육체의 통제를 받는 마음이란, 곧 무형적인 氣가 유형화된 精에 의해서 움직인다는 뜻인데, 精의 에너지는 호흡과 음식에 의해서 생성된다고 한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서 食(음식)이 주관하는 육체가 되면 息(숨쉼)은 보조 역할이지만, 息(숨쉼)이 주관하는 형태의 마음이 되면 本性으로 돌아간다는 의미가 수련의 핵심이다. 따라서 음식을 줄이고 호흡은 길게 하되, 점차 호흡을 끊어야 한다는 논리는 동서고금을 통해 수련의 要結로 설명되고 있다.85)


육체 내부의 氣를 통해, 즉 몸이 중심되어 마음을 통제한다는 의미는 한의학에서 잘 설명하고 있다. 뒤섞인 마음의 기 저장고가 장부론에서 설명하는 바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86)

구분

감정

얼굴색

표현

심장

기쁜 감정

붉어짐

웃음

조심, 걱정

하얗게 됨

걱정 많음

건조

생각, 사유

노래짐

고민, 상사병

습기

분노

파래짐

몸이 굳는다

바람

공포

검은빛

똥오줌 배설

추위


위 내용은 오행과 오장, 감정의 관계를 한의학적 관점에서 설명한 것으로서 이외에도 각 장부의 맛, 색, 감각기관, 냄새, 액 등과의 연관성을 다 빗대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우리가 마음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육체의 통제를 받는 감정을 말하는 것으로서 근본되는 씨앗은 아닌 것이다. 그래서 신고에서는 본래의 청정한 마음자리를 命이라 하였고 이것이 感에 의해 뒤섞이게 되므로 止感을 수련 방법론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프로이드나 칼융의 무의식 자리는 근본마음과 감정이 뒤섞인 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인체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은 육체중심으로 분석한 감정의 學이며, 무의식은 감정의 뿌리가 되는 기본자리, 즉 신고에서 말하는 性의 자리를 살짝 엿본 것이라고 하여도 지나친 억측은 아닐 것이다.



제 5절. 소결론 (精氣神과 수련단계)


1. 정기신과 성명정


수련방법에 있어서의 각종 이론을 정립하는데는 개인의 기질과 성격, 체질등을 고려하여 자기에게 맞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옳다.87) 이는 느낌의 강도가 삼천만 인구 각각이 다르기 때문이고 수련지도자의 능력 차이(이는 엄밀히 따진다면 집중과 이완에 의해 조절되는 몰입의 유도가 능력이기 때문에 최면술사의 능력과 비슷하다.)에 기인하는 바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수련진행 정도는 精, 氣, 神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보편적이고, 精은 또다시 섭생과 호흡으로 단전을 강화하는 1단계, 丹田의 氣를 느낀 후에 縮氣하는 2단계, 축적된 기를 운행하는 運氣의 3단계를 거쳐야 精이 완성된 것으로 본다.88) 氣는 서두에 말한 생체에너지 전부를 뜻하는 것이 아닌, 수련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心, 즉 마음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감정의 조절과 긍정적 사고에 의한 중단전(단중혈)의 완성을 의미한다. 일설에 의하면 마음자리(心)란 머리의 영과 가슴의 혼을 살리는 작업이라고 하는데89) 이에 대해서는 4차원 에너지에 대한 정립된 이론이나 검증된 자료가 없어 확인이 어렵다. 단지 기수련의 핵심이 마음공부에 둔다는 큰 틀 속에서 보면 「가슴을 열고 감정을 그친다」는 止感의 개념을 간직하고 수련에 임해야 할 것이다.

神은 靈의 깨우침으로서 일반인에게는 종교 또는 그 이상의 도에 대한 깨달음의 추구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보편적인 개념으로서는 지혜의 완성으로 보는 것이 좋을 성싶다.90)

단 개념상으로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精氣神을 주체기관으로서 구분하지 말아야 한다. 어디까지나 역할과 기능으로서의 精氣神이지 위치하는 자리가 머리나 가슴, 아랫배를 뜻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91)

고대 한국의 상고사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수련의 목적은 오늘날 대한민국의 헌법에서도 명시하고 있는 ‘弘益人間 制世利化’가 바로 그것이다.92)  神誥에서는 精을 보전하고 命을 알며 性을 통하라는 인간 개인의 수련목적을 제시한 후 功完을 통하여 홍익인간 제세이화로 진행하라는 단계적 방법론을 강조하고 있다.93) 그러나 功完에 대한 개념적 해석은 「머리로부터의 이해」 수준에서 논할 것이 아니라, 수련의 완성(실제 氣功에서의 功은 수련으로 번역해도 무방)이란 체험적 바탕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느낌 강도 수준이 어느 정도 올라선 다음에야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왜냐하면 김시습이나 권극중, 정염 같은 수련자들도 참동계에 주석을 다는 것이 先驗的 느낌이 없이는 내용자체의 이해가 어려웠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일 예로, 督脈의 水氣나 任脈의 火氣가 서로 합한다고 하는 周天化候는 氣海穴(하단전)에 있어서의 후끈거리는 열감이나 뭉쳐진 열기(소위 內丹이라고 하는)를 딱히 언어로 표현하기에 대단히 부족하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삼일신고의 제목에서 암시하듯이 셋은 하나로, 하나는 셋으로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분리되어 설명하는 자체가 개념적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인간 개인의 몸을 性命精으로 나눈 것이나 精氣神으로 구분하는 것 자체가 수련의 단계별 강도를 제시하기 위한 개념의 언어화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2. 수련 단계


수련의 단계는 계단같이 올라가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94) 어느 단계가 지나면 다음 단계가 오는 수준이 아닌, 이 느낌과 저 느낌이 맞물려 왕래를 계속하거나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진전이 없이 평행선만 달리다 어느 순간 점프를 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속에도 길이 있고 관통하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이를 儒家에서는 8조목이라 하였고 佛家에서는 8정도, 仙道에서는 5정도라고 하였다.95)

과거의 개념이 어떠하든, 현대적 의미에서 본다면 먼저 인식론으로 시작하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머리에서 이해하면 몸이 따라오고, “아하! 그렇구나”하는 희열이 느껴지며 이어 실행에 옮기고 결과적으로 스스로를 검증해 나가는 단계가 좋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는 한 과정이 끝나면 다음단계로 이어지는 연결식 인과론이 아닌 동시 진행형 결과론이다. 따라서 마지막 검증단계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진행단계를 검증해 줄 스승이 필요한 것이다.


  유가 8조목 :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 

平天下

  

  불가 8정도 :

正見

正思惟

正語

正業

⇒ 

正命

正精進

正念

⇒  

正定

 

 선가 5정도 :  

正言

⇒  

正行

正身

                

正心

 ⇒  

正覺


위에서 제시하는 수련단계는 최종 목표라기보다는 모든 행위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96) 유가의 修身齊家는 修身을 한 다음에 齊家를 하라는 것이 아니라, 수신과 제가는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는 것이고, 불가의 바르게 보고(正見) 바른 뜻을 가지라(正念)는 것도 正見과 正念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는 것이다.97)

선가의 5정도를 보면 바른 깨우침(正覺)에 주목 할 필요가 있다. 몸과 마음, 말, 행동 등이 바르게 되면 깨우침이 바르게 된다는 뜻도 있지만, 여기서는 초학자들이 어떻게 수련에 임해야 하는지를 가르쳐 주는 전제조건으로 이해함이 옳을 것이다. 즉, 수련의 주체는 몸이되 마음을 대상으로 하고, 마음의 변화에 따라 몸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고 행동으로 표출되는 것이니, 결국 正覺은 최종 목표임과 동시에 진행되는 과정을 함께 표현한 것이라 해도 지나친 해석은 아닐 것이다.98)

그러나 수련적 입장에서의 수련단계는 호흡에서 뜻으로, 뜻에서 빛으로의 단계를 분명히 하고 있다.99) 하단전에서의 精을 보전한 다음, 이의 느낌을 氣로 변화시키고 이어서 氣가 빛으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100) 신고에서 제시하는 수련단계는 정기를 보호한 다음(保精), 命 즉 氣를 감각으로 느끼고(知命), 빛의 세계와 통한다(通性)는 단계적 방법론을 확실히 제시하고 있다. 이는 수련의 목적임과 동시에 단계가 되는 것이다.





제4장 조선시대 수련법

    

수련에 대한 방법론은 본 연구에 있어서의 핵심이다.

神誥에서 인간이 인간다울 수밖에 없는 이유가 感, 息, 觸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101)  또한 인간다움에서 上哲人으로, 즉 깨달은 이로 가기 위한 방법은 止感, 禁觸, 調息임을 분명히 하였다. 그러나 어느 시대 어느 문헌을 보아도 구체적 수련방법과 이로 인해 변화하는 몸의 상태와 부작용 등은 기록되어 전수되지 않고 있다. 다만 조선시대에 성리학을 이념으로 한 통치에도 불구하고 仙道라 하여 수련한 사람들이 이론화하고 체계화한 노력들을 많이 있었으니, 북창 정염, 매월당 김시습, 청허자 권극중 등이 그러한 사람들이다.102)  이외에 의병장으로 이름을 날린 곽재우, 예언서로 유명한 격암 남사고 등이 문헌으로, 또는 민중의 口傳으로 신선이 되었다는 설들이 있으나 실제 탐구의 대상은 아니다. 조선말기에 동학의 창시자인 최재우, 현재도 종교의 대상, 즉 상제로 추앙된 강증산(대순진리회, 증산도 등) 선생 등이 절대의 자리까지 갔던 분들로서 어록은 있으되 방법론은 부재한 실정이다. 단지, 김시습의 문집 전17 雜著 가운데 修眞, 服氣, 龍虎의 3편에 그 방법론이 있으며, 정북창은 용호비결, 권극중은 참동계 주해를 통해 그 실천론을 제기하고 있다.

한국 도교사에서 도의 연원을 서술한 바에 따르면, 신라시대 최치원을 도의 비조로 보았고, 고려시대는 이와 관련한 인물거론이 거의 없으며, 조선시대는 위 3인의 도맥을 거론하고 있다.

그러나 최치원의 난랑비 서문에 의하면 조선의 仙史에 기록된 ‘수련의 도가 있었으니, 바로 風流이다’하는 내용으로 보아 위 3인도 중국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단지 그 시대의 문자인 한자로 쓰여진 점, 중국 도가의 내관원류인 참동계를 인용한 점등이 중국의 亞流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참동계를 저술한 후한시대의 위백양마저도 백두산의 眞人에게 터득했다고 하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이 도의 원류라기보다는 오히려 조선 상고시대의 환국 - 중국 - 조선 쪽으로 환류되지 않았나 보는 것이 근래 수련자의 입장이다.103)


제1절 김시습의 내관법


김시습(1435~1493)은 세조에서 성종 대에 이르는 사람으로서 생육신의 한명이다. 세상을 자유자재로 살았으며 세속적 명리보다 淸淨無爲한 삶을 주장하고 또한 그렇게 살았다. 史家들은 주로 문학 쪽에만 그의 인물됨을 평가하고 있으나 사실은 조선 도맥의 원류라고 보는 점이 더 타당하다. 왜냐하면 당시의 사상계는 유교가 통치 이념으로 굳어진 시기가 아니라, 도(道), 불(佛)을 극단적으로 배척하지 아니했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롭게 수행을 실천하고 기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먼저 수련의 강령을 단 세 마디로 압축하였다.


「선인의 경지란 성(性)을 기르고 氣를 마시며 龍虎를 단련하여 늙음을 물리치는 것이다. 104)


즉, 수련의 방법론으로서 養性, 服氣, 鍊龍虎를 말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性이란 신고에서 말하는 性과 동일한 개념으로서 태초에 존재하는 씨앗의 씨알이란 뜻이다. 氣란 협의의 개념으로서 인체를 구성하는 에너지의 원동력을 말하고 있으며, 龍虎란 수화지기, 즉 불과 물의 감각적 결합을 일컫는다.

용호의 개념은 좀더 자세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정북창의 용호비결에도 용호가 같은 개념으로 쓰였기 때문인데, 정북창은 1506년~1549년간의 인물이므로 김시습의 영향을 받았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조선시대 내관파의 기본개념이 주역을 기초로 하여 수련하였기 때문에105) 상징으로서의 용호는 그 시대의 언어라고 보여진다.

기본적으로 용호는 밖에 있는 동물로서의 용과 호랑이가 아니다. 그것은 인체내부에 있는 구체적인 것을 상징으로 나타내고 있는 개념으로서 인간이 땅의 입장에서 자신의 몸 내부를 표현하는 것이다.

즉, 용은 陽의 기운을, 호는 陰의 기운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사람의 뿌리가 연결된 음양의 기운을 일컫는 말이다.


김시습이 주장하는 세 가지 방법론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養性


  김시습의 양성론은 오늘날의 개념으로는 冥想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性을 알고 이에 들어가는 방법은 신고에서 제시한 감정을 끊고(止感) 부딪침을 금하며(禁觸) 숨쉬기를 고르게 하는(調息) 기본 명제를 다음과 원리로써 설명하고 있다.


「무룻 양성하는 자는 오래 서지 말고, 오래 앉지 말며, 오래 눕지 않고, 오래 보지 말고 오래 듣지 말아야 한다. 그 요점은 셋을 간직하고 하나를 지키는 것이니(存三包一), 셋이란 精, 氣, 神이요, 하나란 道이다. 精은 능히 氣를 낳고 氣는 능히 神을 낳는다. 精은 玄氣로서 만물을 낳아 화육하는 것이요, 기는 元氣로서 선천의 모든 기의 우두머리요, 神은 始氣로서 낮에는 머리에서 나오고 밤에는 배에서 머물되 그것이 작용하는 기틀은 눈이다. ...중략...

욕망에 급급하지 말고 성내고 원망함에 마음을 두지 말며, 육체를 수고롭게 부리지 않고, 정신을 시끄럽게 하지 않아 마음을 적묵(寂黙)에 돌리면(歸心寂黙) 장생할 수 있을 것이다.」106)


  조금 추상적인 방법론이지만 육체의 과도한 노동을 피하고, 감정에 사로잡혀 정신을 산만하게 하지 않으며, 고요한 묵상으로 잡념을 떨치라는 일반론을 말하고 있다.


2. 服氣


  기를 배에 채우라는 의미의 服氣는 단전호흡을 일컫는 말이다.107)  통상 下丹田이란 배꼽이나 그 아래의 氣海穴을 일컫는 말이지만, 한방에서 말하는 혈자리보다는 한 치 정도 더 들어간 내부의 어느 지점이다. 服氣를 위한 방법론도 세 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 자신이 수련을 통한 체험이 없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말하기가 힘든 내용이다.


「氣를 배에 채우기 위해서는 첫째로 모든 잡다한 인연을 끊고 인체내 氣가 머무는 五神을 안정시켜야 한다. 五神이란 심, 간, 폐, 비, 신장에 들어 있는 神의 기운을 말함이고,  둘째는 內觀을 통해 氣의 흐름을 보며, 셋째는 들이쉬는 숨을 길게 하고 내쉬는 숨을 짧게 하여 氣를 머물게 하여야 한다」.108)


여기에서 말하는 인체 내 기가 머무는 五神의 개념은 해부학적 五臟보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五臟으로 보인다. 五臟은 우주의 五行과 인체의 오장을 같은 개념으로 보는 것이다. 또한 기능상의 작용도 氣의 관점에 의해 목, 화, 토, 금, 수의 五行(여기서의 行은 움직임을 뜻한다.)과 동일한 개념인 것이다. 즉, 腎은 水氣를 조절하고 통제하며, 간은 木氣를, 心은 火氣를, 脾는 土氣를, 폐는 金氣를 주관한다는 뜻으로서109) 이는 한의학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수행의 의미에서 기의 흐름을 살피는 內觀法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김시습이 말한 內觀은 수련방법론에 있어서의 핵심인 집중과 이완 중, 집중에 관한 방법으로서 뿐만 아니라, 느낌세계로서도 감지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이다.

偶人은 內觀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수련이 진행되는 것은 결국 내 안으로의 여행이다. 인체내부를 살펴본다는 뜻이지만 더 깊이 본다면 집중의 한 방법으로서다. 내부 장기의 느낌을 氣가 순환하는 통로로서 알아보는 것인데, 五臟은 확실히 감지할 수 있다. 腎臟은 끓는 느낌, 肝臟은 묵직하게, 心臟은 뜨끈하거나 팔닥거리는 감각, 肺는 시원하면서도 뚫리는 느낌, 胃臟은 텅비어 있으면서도 꽉 찬 느낌이 바로 그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우주 오행의 변화 순서가 인체 오장의 氣 통로와 동일하다는 것이다. 단전호흡이 진행되면 허리 뒤 요추 2번과 3번사이의 명문혈로서 호흡이 진행되는데, 여기가 腎臟이 위치한 아래쪽이다. 腎臟에서의 水, 즉 물의 기운이 간장(木)으로, 다시 심장(火)으로, 폐(金), 위(土)의 순서대로 기가 움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관법이란 오행의 기운이 장부를 따라 움직임을 우선 알게 되는 것이고, 이후 경락을 따라 기를 운행해 보는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12경락이라든지, 기경 팔맥 같은 경우 실제 운행하려고 해도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가설이지만 12경락이란 것은 중국이 대륙 내에 흐르는 강이 12개인 점을 감안, 인체를 자기들 나름대로 분류해 놓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3. 鍊龍虎


용호를 단련한다는 의미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내의 陰陽, 즉 水와 火의 氣를 서로 합하여 丹을 형성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것은 인체내부의 수화(水火)를 의미하는 것이지 외부로부터의 약을 복용한다는 것은 아니다. 실제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중국 제자백가시대부터 잘못된 상식으로 금단의 약을 잘못 번역, 납중독에 의해 요절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110) 

김시습은 용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용호란 납과 수은이요, 精氣란 乾坤이요, 文武란 火候이다. 용호를 단련하여 아홉 번 변화해야 단을 이루는 것이다.」111)


요컨대 鉛汞, 즉 납과 수은을 물질적인 것으로 보면 외단의 약을 제조하는 원료요 정신적으로 보면 인체 내의 水火로 보는 것이다. 精氣는 그릇, 즉 육체로써 머리는 하늘, 몸은 땅으로 보는 것이며, 文武는 水火의 조절방법이라고 부연 설명하였다.

火候에 관해서는 주역의 괘상을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위백양의 참동계를 주석한 원대 유염의 「참동계 발휘」에서 인용한 것이다.112)


「화후라는 것은 정기와 약물을 제외하고 나머지 60괘, 즉 둔괘와 몽괘로부터 기제, 미제에 이르기까지 두루 벌려 있어 周天의 火候가 되는 것이다. 문화, 무화라 함은 다음과 같다. 연홍은 金에 속하며 그 성질이 강건하여 坎안에 간직되어 있기 때문에 맹렬하게 단련하지 아니하면 위로 오를 수가 없으므로 무화를 써서 이를 핍박해야 한다. 汞用은 木에 속하여 그 성질이 지극히 부드러워(柔) 璃안에 숨어 있기 때문에 일단 眞鉛을 만나면 움직이지 않으므로 문화를 써서 단련해야 한다.」113)


또한 아홉 번의 변화(九變)는 구체적인 햇수를 포함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수련을 통해 장생에 이를 수 있는 것은 천지의 정기를 훔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는 호흡에 의해 가능하다. ...... 중략...... 순간적으로 결태(丹)가 이루어진 후 100일만에 영험이 나타나고 10개월만에 胎가 원만해지며 1년 후에 小成한다. 2년 후에 大成하며 9년만에 九變을 거치면 음이 소멸하고 純陽의 몸이 된다. 功(자기완성)이 다 이루어지고 行(타인에게 베품)이 가득차 사람으로 할 바를 마친다. 이후 가히 세상을 떠나 독립하여 천지와 수명을 같이 할 것이니, 이것이 장생호탈의 術이다」.114)


요컨대 호흡을 통하여 丹을 완성하는 것은 3년이 걸리고, 3년씩 아홉 번을 변화하면 그때야 자기완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연후에 스스로의 의지로 육체를 초월, 천지와 함께 하는 영생을 얻는다는 것이니, 신고에서 말하는 性通功完의 경지를 말한다 하겠다.


제2절 정염의 용호비결


북창 정염(1506~1549)은 용호대사라고 불린 조선중기의 대표적 단학가이다. 포천 현감을 지내기도 했으나 벼슬에는 뜻이 없었고, 유불선에 두루 통하며 의학에도 밝아 1544년에는 왕의 병을 진찰하기도 하였다. 한무외가 쓴 「해동전도록」에 용호비결이 실려 있는데, 조선 중기에는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굳게 지키는 사회였기 때문에 해동전도록115)같은 수행 관계 문헌은 불온서적으로 간주되었다. 용호비결은 해동전도록에 붙어있는 글 가운데 하나이다.116)

앞장의 김시습이 말한 練龍虎에서의 용호란 개념이나 정염의 용호는 그 개념을 같이한다. 또한 정염의 핵심 방법론 3가지가 閉氣, 胎息, 周天火候인데, 주천화후의 개념 또한 김시습의 그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용호비결내용의 수준으로 보아서는 수련의 입문서쯤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호흡의 방법을 일반적인 수준이 아닌 음식과 호흡의 관계로 파악한 점이나, 목표를 분명히 한 점, 특히 수련의 자세를 세밀히 저술한 점이 그렇게 보고 있는 이유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용호비결은 수련자들에게는 대단히 귀중한 자료이다. 모든 도학관계 서적들이 추상적이거나 개념적인 서술로서 이론과 체험을 정리하지 아니하였는데, 정염은 과거 어느 저술에도 없는 부작용까지도 세밀히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그의 중요한 방법론을 본문 위주로 저술하고, 난해한 부분은 法光과 偶人의 도움으로 주석을 달아서 돕고자 한다.


1. 수행의 자세와 閉氣


용호비결의 첫 장은 수련에 있어서의 사회적 폐단과 수련자의 자세를 언급하고 있으며, 또한 호흡이 수련의 입문임을 밝히고 있다.


「丹을 다시 하는 길은 너무나 쉽고 매우 간단하다. 그러나 오늘날(16세기)에는 그에 관한 글들이 너무 많아 소와 말이 끌 수 없을 정도로 넘쳐나고, 큰 집을 가득 채울 정도로 많다. 또한 그 개념과 표현들이 지나치게 혼란스러워 이해하기가 어렵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배우는 사람들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알지 못했다. 그래서 장생을 얻으려다 오히려 요절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참동계” 한편은 실로 단학의 비조라 이를 수 있다. 그러나 그 책은 천지를 돌아보고 겪은 바를 괘와 효로써 비유하고 있어, 초학자들이 함부로 짐작할 바가 못 된다. 그래서 이제 입문에 절실하면서도 쉽게 알 수 있을 정도의 문장을 약간이나마 기술하지만, 만약 알고 깨달을 수 있다면 한마디면 넉넉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참동계는 후한 환제시대 위백양이 주역을 풀이하여 수련지침서로 저술한 책이다. 제목의 원 뜻은 알 수 없으나 參은 雜이요, 同은 하나(一)요, 系란 계통을 뜻한다고 하는 참동계 註解를 인용한다면117), 현대적 의미는 “인간의 몸과 마음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갈등의 근원을 하나로 들어가는 길에 대한 방법론”쯤으로 이해해도 될 것이다. 아마 당시에도 長生不死를 추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난무하여 단순하면서도 행하기 쉬운 이론이 필요하여 서두에 이러한 내용을 기술한 것으로 보인다.


「대개 수련의 첫 걸음은 폐기뿐이다. 이것이 소위 한마디의 要訣로서 지극히 간단하고 쉬운 길이다. 옛 사람들은 대개 이를 숨겨 드러내지 않았고, 드러내도 쉽게 하지 않았다. 그런 까닭으로 사람들은 첫 걸음의 방도에 대한 앎이 없었고, 단을 닦는 것이 ‘기가 숨쉬는 가운데’ 있는 것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쇠붙이나 돌멩이 등 밖에서 그 방법을 구하려 했던 바, 장생을 하려다 오히려 요절하니 애달픈 일이다. 이제 폐기를 하려면 먼저 마음을 고요하게 해야 할 것이니, 다리를 포개어 단아하게 앉아라(불교에서는 이른바 금강좌라 한다). 그리고 눈썹은 발을 내리듯이 내리고 시선은 아래를 보아라. 육체적은 눈은 코의 흰빛과 상대하라. 코는 배꼽부 위의 수레바퀴와 상대하라(공부의 정신은 모두 여기에 있다. 마땅히 이때에는 협척이 수레바퀴처럼 되게 하라).


들어오는 숨은 면면하게 하고, 나가는 숨은 미미하게 하라.118)  신과 기119)는 늘 함께 배꼽 아래 일촌 삼푼의 가운데 머물도록 하라. (모름지기 긴장된 상태로 기를 닫아놓고 내보내지 않을 필요는 없다. 참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 오로지 뜻을 더하여 아래로 보내라. 대략 소변을 볼 때처럼 하라. 이것이 이른바 손풍에 기대에 숨쉬는 것이다. 진실로 마음을 고요히 하려면 머리는 아래로 드리우고 시선도 아래를 보라. 육체적인 눈은 코의 흰빛을 보라. 코는 배꼽 바퀴와 대응하라. 그러면 곧 기는 어쩔 수 없이 아래로 내려간다.

폐기 초기에는 가슴에 점차 불기운이 차올라 가득해지는 것을 쉽게 느끼게 된다. 혹은 찔러오는 느낌이 있거나,  우레와 같은 소리를 울리면서 아래로 흐르는 것이 있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은 기쁜 징조다. 대개 상부에 있는 풍사120)는 정기의 압박을 받아 공동처로 흘러 들어간다. 그렇게 전해 보내는 길을 얻은 다음에는 기가 스스로 평안하고 병은 스스로 소멸하면서 흩어진다. 이것이 곧 요체가 되는 길이며, 또한 ‘편향증험’이라 하기도 한다. 늘 가슴과 배에 우환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마음을 달구어라. 그러면 그에 어울리는 효과가 참으로 묘할 것이다.)

의념을 거듭하여 이것이 몸에 배도록 하라. 공부가 점점 익게 되면 이른바 ‘현빈일규’121)라고 하는 것을 얻는다. 그러면 온 구멍이 모두 뚫리게 될 것이다.(태는 구멍 가운데로 숨을 쉰다. 이 한 구멍을 얻는 것이 곧 신선됨을 이루는 길이다.)

현빈규를 얻음으로 말미암아 태가 숨을 쉬고 그로 인하여 화후를 내 몸 안 우주에서 돌리면 태를 맺을 수 있다. 어느 것도 이보다 더한 것은 없다.

혹자는 이를 곁갈래의 작은 재주라 하여 그 일을 긍정하지 않으니 애석한 일이다. 변화와 하늘을 나는 술법은 내가 감히 이야기할 바는 아니나, 신을 기름에 있어서는 천 가지 처방과 백 가지 약이라도 이와 비길 수가 없다. 이 공부를 몇 달만 행한다면 모든 질병이 사라질 것이니, 그것을 행함에 어찌 마음을 다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수련의 핵심이 기를 닫아서 밖으로 내 보내지 않는 “폐기”라고 하였다. 이는 숨을 닫는다는 폐식도 아니고 기를 뭉치게 하는 것도 아니며 오로지 胎를 만드는 방법임을 강조하고 있다. 즉 胎가 숨을 쉬는 氣息단계가 되어야 피부호흡(온몸에 구멍이 뚫린다는)이 되며, 이렇게 되어야 화후가 되어 질병이 없어진다고 하였다.

한편으로 인간이 질병을 얻고 또한 물리칠 수 있는 방법을 수련적 의미에서 해석하고 있다. 소위 風邪라는 개념인데, 이는 좋지 않은 기운으로서 피속에 돌아다니는 병의 근원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풍사를 제거하는 근본은 精氣로서 구체적 행동요령이 사랑임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대개 풍사의 우환은 혈맥 속에 숨어 드러나지 않으면서 몰래 다니다 어두워지면 더욱 빠르게 치닫는다. 이것이 몸을 죽이는 무서운 흉기가 되는 줄 모르고 오래 지내기 마련이다. 그러면 풍사가 경을 통해 고황122)에 들게 된 다음에는 의사를 찾아 묻고 약을 쓸지라도 때는 이미 늦는다.(의가는 병이 난 후에 치료하고, 도가는 병이 나기 전에 병을 치료한다.)

정기와 풍사는 마치 얼음과 숯을 서로 한 그릇 안에 담을 수 없는 것과 같다. 정기가 머물면 풍사는 스스로 달아난다. 그러면 모든 맥이 저절로 유통하고, 三宮123)도 자연히 오르내린다. 그러니 질병이 어떤 연유로 만들어지겠는가? 점차 정밀하게 힘을 더해 가면 곧 수명을 늘리고 생명이 정해진 기간도 물리치게 된다. 설령 그 길에서 찌꺼기 정도만 얻더라도 역시 편안하고 기쁘게 생을 마칠 수 있을 것이다.

무엇을 사랑한다는 것은 그가 격에 맞는 생을 살기를 바라는 것이다. 내가 감히 이것을 여러 동도자에게 주는 것도 또한 서로 사랑하는 길이다. 이를 세밀하게 살펴 나의 외람됨을 용서한다면 매우 다행한 일이겠다.」


폐기에 대한 疑念의 방법론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단, 여기서 말하는 눈이란 육체의 눈뿐만 아니라 마음의 눈까지도 포함해서 이해해야 한다. 소위 天目이라고 하는 느낌 상태를 감지하는 눈인데, 이마 앞쪽의 인당혈을 말하는 것이다. 상단전이 열리게 될 경우 빛의 상태에서 수련자의 주관이 개입될 경우 원하는 象이 맺히게 된다. 또한 왼편과 오른편을 보라는 것은 좌뇌와 우뇌 상태의 느낌을 보라는 것이다.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하나의 점이 생리학적으로 볼 때는 두뇌의 송과체가 자리한 곳인데, 여기가 인당혈이다. 소위 둘이 하나요, 하나가 둘이라는 점으로서 태극을 알게 하는 인체상의 중요한 지점이다.


「삼가 옛사람의 말씀을 살펴 보건대, “따르면 사람이고, 거스르면 선이 된다”고 했다. 대개 하나가 둘을 낳고, 둘은 넷을 낳고, 넷은 여덟을 낳는다. 그리고 이것이 육십사로 나누어지는 데까지 이른다. 이를 가지고 세상 모든 일로 삼는 것은 사람의 길이다. 첩족단좌(양발을 포개어 앉음)하고 수렴색태(눈을 아래로 깔고 하단전에 의식을 집중함)하여 세상만사의 어지럽고 뒤섞인 것을 거두어 들여 한 얼, 태극으로 돌아가는 것을 선도라 한다. 폐기란 눈을 깃발로 삼아 뜻이 가는 대로 기의 오르내림과 좌우 전후로 움직임을 이루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기를 오르게 할 경우는 그 위를 보고, 기를 아래로 내리게 할 경우에는 그 아래를 보라. 바른 눈을 닫고 왼 눈을 열어 그 위를 보면, 곧 왼쪽 기가 돌아 오른다. 왼 눈을 닫고 바른 눈을 열어 그 위를 보면, 곧 바른쪽 기가 돌아 오른다. 기를 내리는 데는 앞에 있는 임맥을 이용하고, 오르게 하는 데는 뒤에 있는 독맥을 이용한다. 그럴 경우 신이 가면 곧 기가 가고, 신이 머물면 기도 머문다. 신이 이르는 곳이면 기도 이르지 않는 곳이 없다. 눈으로 領을 삼는 것이 마치 군중에게 깃발을 쓰는 것과 같다. 이제 위를 보고자 한다면, 모름지기 눈을 뜨지 않고 다만 눈동자를 굴려 위를 보아도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대개 위가 성하고 아래가 허하다. 그래서 이처럼 기가 오르는 것이 번번히 병이 되어 상하가 서로 교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 기가 내려가 戊己土124)에 있게 하는 것을 중요한 일로 삼아 비위가 조화롭게 통하게 하고 혈맥이 두루 흐르게 해야 한다.(이것은 다만 세인들만이 하는 것이 아니다. 단을 지키는 요체도 역시 그 中을 법도대로 바르게 지키는 데 있다.)

능히 혈맥을 두루 돌게 하여 임독125)이 모두 통하는 데 이른다면, 명을 늘이고 죽음의 기한을 물리치는 것을 어찌 반드시 안 된다고 하겠는가?  그러므로 수단의 길은 반드시 폐기를 첫 방법으로 삼아야 한다.

다리를 포개어 앉아 손을 단정히 하며, 눈길을 편안히 하고(8가지) 눈빛이 서로 어울리도록 하며, 눈은 발을 내리듯이 하여 아래를 보고, 신과 기는 반드시 배꼽 아래 단전 중심에 함께 머물도록 한다. 그리하면 상부의 풍사는 구름이 걷히고 안개가 가라앉는 것과 같이 졸졸거리며 아래로 흘러 내려간다. 풍사는 먼저 가슴에서 배로 내려간다. (처음에는 배가 꽉 차오르고, 다음에는 배에 통증이 생긴다.)

그리하여 기를 내려보내는 길을 얻은 다음에는 몸이 화평해지고, 마른 기운에 윤기가 나며, 몸에 있는 모든 맥들이 두루 돌아 크게 퍼진다. 그러면 한 홀(意)126)이 깊이 녹아들어 눈앞에 하얀 눈이 펄펄 내리는 듯하다. 그러면 내가 형체 안에 있는 것인지 아니면 형체가 내 안에 있는 것인지 알 수 없게 되는데, 깊고 조용하며 드러나지 않고 은은할 뿐 아니라 정신이 흐릿하여 황홀한 상태가 된다. 이미 태극이 아닌 나누어지기 전의 상태에 들게 된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말하는 참된 경계요 참된 길과 방법이다. 이외에는 모두 삿된 말과 망령된 행동에 지나지 않는다.」


2. 胎息


胎息이라는 것은 胎로 숨을 쉰다는 뜻이다. 우리가 상식으로 이해하고 있는 胎는 배꼽과 그 주변부를 말하는 것이고, 수련적 의미로서의 胎息은 단전호흡을 일컫는 말이다. 음식과 허파로 호흡하여 살아가는 몸은 중단전, 즉 가슴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 수련의 이미로 호흡을 통한 폐기를 어느 정도 완성하였다면, 하단전을 운영주체로 하는 내부호흡 과정 속에서 마침내 태가 완성된다고 한다. 이것이 아랫배, 즉 숨쉼으로서 몸의 주체를 삼는다는 것인데, 중심을 하단전에 두면 그 근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태는 氣息127)을 하기 위한 터전으로서 육체적인 중심도 되고 마음, 즉 氣의 중심도 되는 장소를 말한다. 따라서 胎息은 氣息이요, 현대적 의미는 단전호흡을 일컫는 말이다.


⌜“태식경”에 이르기를, “태는 기를 가라앉히는 가운데서 맺어지고, 기는 태가 있는 가운데서 쉰다. 기가 몸 안으로 들어오면 살게 되고, 신이 몸뚱이를 떠나가면 몸은 죽게 된다. 만일 장생을 얻으려면 신과 기가 서로 머물러서, 신이 가면 기가 가고 신이 머물면 기도 머물러야 한다. 이를 힘써 행하라. 이것이 바로 참된 도의 길이다”라고 하였다.

폐기가 점차 익숙해지고 신기가 차츰 바른 자리를 잡은 다음에는 차근차근 기를 아래로 밀어서 배 아래 ‘모제’128)에 이르도록 한다. 이 기가 숨쉬는 것이 어디서 시작했는지 그 근본을 찾아 세심하게 연구하고, 숨의 출입에 따라 호흡함으로써 기식이 늘 그 중에 있도록 한다. (이것이 이른바 현빈일규129)이고, 수단지도는 여기에 있을 뿐이다). 그런 다음 입과 코 사이로 기가 나오지 않도록 한다(그러나 항상 일촌 정도의 기가 입과 코 사이에 머물도록 한다).

이것이 이른바 모태에서 숨쉬는 것이고, 이른바 뿌리로 돌아가고 명을 회복하는 길이다. (이를 반본환원이라고도 한다. 사람이 어머니의 태속에 있을 때는 입과 코로 호흡하지 않는다. 다만 탯줄로 임맥과 통하고, 임맥은 폐와 통하고, 폐는 코와 통한다. 그러면 어머니가 토하면 태아도 토하고, 어머니가 마시면 태아도 마시게 된다.

탯줄이 한번 끊어지고 나면 호흡은 입과 코로 통하고, 급기야는 몸에 지녔던 영양분을 잃어버리고 당연히 진기130)도 녹아 없어진다. 이 때문인가!  질병이 생겨나고, 요절하게 될 것이다. 만일 이 귀복하는 법을 얻어서 정진을 그치지 않는다면, 곡식을 피하고 산에 오르는 것 모두 이것으로 말미암는다. 옛사람의 시에 “집이 훼손되면 쉽게 고칠 수 있고 약이 말라도 사는 것은 어렵지 않네. 그러나 귀복법을 아는 것을 금은보화를 산과 같이 쌓는 것이네”라고 했다.)

그러므로 태식한 다음에야 기는 처음처럼 부드러워지면서 원만해진다. 기가 원만해지면 본래의 자리에 머물게 되고 마침내 호흡이 없는 숨에 이르게 된다.

“태식경”에 이르기를, “기가 바르게 자리를 잡으면 곧 무호흡이 된다.”고 했다. 옛날 갈선옹은 매번 무더위에는 깊은 연못에 들어 십일만에 밖으로 나오곤 했다. 그것은 아마 폐기하여 태식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3. 周天火候


주천(周天)이란 직역하면 하늘을 돌린다는 뜻이다. 여기서 하늘이란 내 몸속에 있는 기를 뜻하는 말로서 육체화 된 몸과 상반되는 개념이다.131) 즉 육체를 形이라 할 때 정신적인 부분을 氣라고 하는 것인데, 하단전에 터를 둔 정신적인 분야의 기는 사람을 소우주라고 표현하듯 인체내부의 작은 우주를 돌리는 것으로서 언어적 표현이 주천이다.

화후란 불의 형태를 일컫는 말이다. 이는 수련적 의미로서의 개념인데, 火는 고체화된 열의 형태로서 인체내부에 스며있는 뜨거운 기운이다. 候는 기체화된 불로서 몸 내부를 운행하는 熱氣를 뜻하는 말이다.132) 따라서 주천화후란 몸속에 들어있는 뜨거운 기운을 기체화된 형태로 변환하여 숨길을 따라 운행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화(火)에는 안팎이 있다. 그 안은 느리고 밖은 빠르다. 초기에는 기와 혈이 함께 허해서 폐기를 한 지 오래 되지 않아 화후가 배꼽과 배 사이에서 쉽게 일어난다. 그러다가 이것이 오래되어도 흩어지지 않으면 반드시 일정한 온기가  그 사이에서 나온다. 이때에는 자연스레 혈기가 점차 충실해지고, 화기의 내부도 느려진다. 또한 문무 진퇴의 법133)이 있으니 이를 잘 살펴야 한다.


주천화후라는 것은 단지 열기가 온 몸에 두루 퍼지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신과 기가 함께 제복 사이에 머물러 있을 때, 만일 뜻을 더하여 볼 수 있다면뜻을 더하고, 숨을 불 때는 문무화후와 양근의 법도대로 하고, 진퇴의 법에 따른다. 그러므로 아주 조심스럽게 살펴야 한다. 만일 신심(信心)을 정정(正正)하게 한 후에 火를 법도대로 밀고 가면, 곧 방광이 불에 덴 것처럼 뜨겁고 양 신장이 펄펄 끓는 듯하다. 그러나 허리 이하부터는 오히려 시원하며 평상시와 다르다. 만일 화후를 가볍게 밀고 갈 수 없다면 곧 온 몸에 화열이 미쳐 오히려 몸은 화상을 당한다. 곧 온기가 작은 상태에서 점차 뚜렷해지면서 아래에서 위로 올라간다. (이처럼 열기가 이르는 곳은 점점 훤하게 열리고 넓어지면서 위에 도달한다.)

이것은 마치 꽃봉오리가 점차 피어나는 것과 같아서, 소위 화지에서 연꽃이 피어나는 것과 같다. (산수화지라는  것은 虛와 極에 이르러, 精과 督을 지켜낼 때를 말한다. 이때가 무엇보다 중요한 요처라 할 것이다.)

그러기를 오래하면 열이 점점 일어나 몸을 채운다. (이것은 연꽃이 피어 점차 감로를 맺고, 그 감로가 점차 진해지는 것을 말한다. 이때 물이 거슬러 위로 올라가, 달콤한 침이 입안 가득히 고여 醴泉이 된다. 이것이 이른바 옥장금액이란 것이다.) 뱃속이 크게 열려 아무것도 없는 것과 같이 되면, 잠깐 사이에 열기가 온 몸을 두루 돌게 된다. 이것이 바로 주천화후라는 것이다. 진실로 법도대로 火를 운행시킬 수 있다면 참을 수 없는 지경에는 이르지 않을 것이다.

제복134)의 한 치 세 푼 아래를 하단전이라 하는데, 이곳과 상단전(니환궁)이 함께 응하기를 마치 香과 같이 한다면, 이른바 玉露(단전의 다른 이름)의 火가 따뜻해지고, 頂上(니환)에서는 자색구름이 날아다닌다.

상단전이 물을 끌어들이고 하단전이 물을 대는 모양이 마치 서로 고리를 이루어 끝을 보이지 않는다면, 진실로 이 火로 하여금 온기를 잃지 않도록 기를 수 있을 것이다. (하룻 동안 자오묘유에 반드시 화를 밀고 나가 따뜻한 기운이 한숨도 진화가 되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이것을 밤낮을 하루같이 늘 하여 10개월에 이른 후에야 胎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깨끗하고 밝은 기운이 위로 올라 니환궁에서 맺어진 것을 선가에서는 ‘현주’라고 부르고 불가에서는 ‘사리’라고 부른다. 여기에는 꼭 그럴만한 이치가 있다. 그러나 도를 이루는 여부는 오로지 사람의 정성 여하에 달려 있을 뿐이다. 다만 일찍 도달하는 것이 귀할 뿐이다.

문득 듣자하니 화기로 약을 달이고 단으로 도를 이룬다고 하는데, 이것은 신으로 기를 다스리고, 기로 형에 머무르고, 그러면서 이들이 서로 떨어지지 않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작은 재주는 알기 쉬우나 바른 길은 만나기 어렵다. 비록 그 길을 우연히 만났다 할지라도 전심으로 행하기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천 사람 만 사람이 배워도 마침내 배움을 이룬 사람은 한두 사람에 불과하게 된다. 따라서 배우는 사람 모두는 정성을 가장 귀하게 여겨야 한다.

또 시에 이르기를, “정기가 몸 안 비어 있는 부분에 늘 꽉 차 있으며, 어찌 편안한 곳에서 초연함을 방해할 수 있겠는가? 달마는 태식법을 얻었기에 능히 면벽하여 마음을 살필 수 있었던 것이다”라고 했다. “황장경”에서는 “세상 사람들은 五穀의 ‘정’을 먹어 배를 불리는데, 나는 홀로 이 음양의 기로 배를 불린다”고 했다.

이상의 두 시를 가지고 살피건대, 벽곡135)은 전적으로 胎息에 달려 있다. 그러므로 벽곡을 하여 오로지 이 음양의 기로 배를 불리 수 있다면, 地互가 닫히고 天門이 열릴 것이다. 그러니 어찌 平路에서 仙에 오르는 것을 불가하다고 하겠는가.

앞의 세 조목에 비록 서로 다른 이름을 붙였으나 오늘 한 조목을 행하고 다음 날에 또 한 조목을 행하는 것은 아니다. 세 조목에 대한 공부는 전적으로 ‘폐기’ 안에 달려 있다. 다만 공부에는 깊고 얕음이 있고, 등급의 높고 낮음이 있을 뿐, 비록 변화하고 하늘을 나는 술법이라고 할지라도 모두 이 세 가지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니, 오로지 그 정성에 달려 있을 뿐이다.」

제3절 권극중의 無息과 주천화후


권극중은 조선 중기에 내관사상의 이론과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람이다. 호는 청하이며 자는 靜止이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언급한 그의 수련적 성과는 다음과 같다.

「단학의 분야에서는 함열 사람인 도사 남궁두와 고부 사람인 청하자 권극중이 있는데, 이들은 또한 方術을 수련하여 이름을 떨쳤다.」


권극중은 주역 「참동계 주해」를 인체와 접목하여 인간의 생노병사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였으며, 삶과 죽음을 동일시하게 보는 불교의 윤회사상과 전통 仙道의 사상을 같은 뿌리로 보고 인간이 근본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先天一氣의 회복이 영생을 얻는 길이라는 명제 하에 단의 修練 전과정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1. 기본 사상


권극중은「인간은 몸과 마음 어느 것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전인적 존재이다. 또한 우주의 본체도 ‘이것이다’라고 딱히 말할 수 없는 미묘한 전체이므로 통틀어 一氣라고 개념만 설정할 뿐이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농은유집의 갑골문 천부경에서도 나타난 大氣合의 기 개념을 그대로 원용한 것 같이 보이는 내용으로서, 현재의 인간은 하나의 기가 分化되어 성명정을 만들고 이것이 64괘까지 발전된 형태로 나타나 각종 감정과 욕심이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다. 권극중의 참동계 주해는 주역을 해석한 내용으로서 주역 자체가 우주변화의 원리이므로 이를 인간에게 적용한 것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즉 인간이 자연과의 합일상태가 되는 원래의 자리로 돌아가려는 노력이 修丹이며, 이에 이르는 방법이 性命雙修, 仙丹好修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성과 명을 동시에 수련해야 한다는 성명쌍수는 마음수련과 기의 단련을 동시에 해야 한다는 뜻이고, 선단호수는 수련과 명상을 함께하여 신선에 이르러야 한다는 뜻으로서 기본은 성, 명, 정을 하나로 일통하는 합일의 개념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근래의 수련 방법인 호흡, 의념, 동작을 같이 해야 한다는 수련론과 맥을 같이한다.


「시작 없는 이전에 도가 있으니 이를 태극이라 하며 그윽하고 황홀하다. 그 속에 한 물건이 있으니 선천일기라 하며 신령스럽게 주재한다. 空으로서 有를 포함하고 氣로서 道에 합하여 뒤섞임이 없으니 이것이 조물주가 만물을 생성하는 근본이다. 근본에서부터 말단으로 흐르면 한번 태어나서 한번 죽는 도가 되고, 흐름을 거슬러 환원하면 신선과 부처처럼 태어나지도 죽지도 않는 도가 된다. 무엇을 근본으로부터 말단으로 흐른다고 하는가? 하늘에서는 理氣를 통괄하는 體가 되고 사람에게는 性命을 바르게 하는 用이 되어 이를 나눔으로 쓰는 것이다. 일기가 나누어지면 음양오행이 되고 후천이 된다. 후천이라는 것은 형질이 있는 것이다. 열자가 “낳지 않는 움직임이란 없고 존재하지 않는 이룸이란 없다”고 하였으니 이것이다. 음양은 사람의 형질을 이루고 선천일기는 음양과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같이 부여되어 사람의 正命이 되고 태극은 一氣와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람의 眞性이 된다. 형체가 있은 연후에 쌓이기만 하고 변화가 없다면 우주 또한 막힐 것이다. 그러므로 변화해서 無로 돌아간 연후에 낳고 낳는 도를 베풀 수가 있으니 이것이 조화의 향상됨이다. 형체가 있는 것은 반드시 변화함이니 천지도 비록 크지만 형체가 있어서 머물고 무너지고 없어짐을 면하지 못하니 하물며 만물이랴. 만물은 변화 속에서 낳지 않을 수 없고 죽지 않을 수도 없으니 이것이 근본으로부터 말단으로 변화되어 한번 태어나면 한번 죽는 도이다. 무엇을 거슬러 근원으로 돌아간다고 하는가? 선천의 생명은 태어날 形도 없고 소멸할 質도 없어서 변하지 않는 眞性으로 有無를 꿰뚫는다. 형체를 떠나면 초연히 독립하다가 형체를 만나면 그 속에 깃든다. 형체가 괴멸되면 근원으로 돌아갔다가 변화를 따라 다시 태어나 윤회를 계속한다. 따라서 육신이 피폐하기 전에 수련하면 신선과 부처가 될 수 있다. 性을 닦으면 부처가 되고 命을 닦으면 신선이 된다. 태어나고 죽는 몸을 변화하여 理氣의 근원을 회복하는 조화가 나에게 있으니 내가 나를 살리고 죽이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것이 바로 흐름을 거슬러 근원으로 돌아가 죽지도 낳지도 않는 도이다.

비록 그러하나 거슬러 올라갈 때 조화의 묘용 중에 쉽게 말할 수 없는 것이 있으니 금단의 제조이다. 양의 기틀은 음에 있고 음의 기틀은 양에 있으니 이 법은 乾(하늘, 양)을 솥으로 삼고 坤(땅, 음)을 화로로 삼으며, 離火를 써서 坎水를 끓이면 음 속에서 양기가 나와 부르고, 양 속에서 음정이 화답해 순식간에 합하여 약이 되니 이를 金丹이라 한다. 이것은 보통의 음양이 아니고 선천정기이다.……

중략 ……건곤은 위로는 천지를 비유하고 아래로는 남녀를 비유한다. 감리는 몸 밖으로 일월을 비유하고 몸 안에는 심장과 신장을 비유한다. 사람의 몸은 소천지이니 천지일월의 도를 몸 속에 갖추고 있다. 채집한 金丹은 천지의 精과 神이요 일월의 혼백이다.」136)


요컨대 주역에서 설명하는 만물분화 과정, 즉 하나가 둘을 낳고 둘이 넷, 넷이 팔괘를, 이어서 64괘까지 변화한다는 물질의 생성과정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면 하나로 돌아간다는 논리이다. 인간에게 적용하면 태어난 곳으로의 회귀가 도를 얻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태극도설의 기본사상으로서 주염계의 이론과도 맥을 같이 하지만 수련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틀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2. 수련법


수련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것이 練己이다. 이는 몸과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삶을 말하는 道家의 청정무위를 실천해 가는 삶으로 이해되는데, 구체적인 조건으로 내세운 것이 성적 욕망의 절제를 통한 保精이 그것이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신고의 목적과 동일한 내용이나, 설명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연기는 자기 몸을 단련함을 일컫는다. 단을 얻은 후를 진련이라 하고 단을 얻기 전을 산련이라 하니, 산련의 공부가 지극한 후에 진련을 얻을 수 있다. 산련이란 무엇인가? 일신의 삼요를 벗어나지 않는다. 무엇이 삼요인가? 단서에서는 心, 身, 意를 삼요로 삼는다. 身이란 몸으로서 그 중 腎臟이 가장 중요하다. ……중략…… 누가 묻기를 신장의 속성이 반드시 삿되다면 몸을 해치는 것인데 어째서 중요하다고 하는가? 답하여 말하기를 신장은 낳고 죽이는 기틀을 겸하기 때문이다. 오장은 각각 하나지만 신장은 둘인 이유가 여기 있는 것이다. 잘 쓰면 금단의 약이 생산되고 못 쓰면 본성과 원기를 소모하여 죽음의 길로 이끈다.……중략…… 그러므로 연기는 持心과 함께 단법의 처음과 끝이다. 다만 나이가 어린 자는 욕화가 치열하여 돌아보지 않으려 하고 노쇠한 사람은 의지가 약해서 스스로 단념한다. ……중략…… 누설을 막고 약물을 견고하게 하여 쉽게 이루도록 하여야한다……중략…… 」137)


정기의 보전이 되면 삶 자체가 청정해지며 건전한 생명력이 오래 간다고 하였다. 그러한 몸을 가지고 도덕적 선행의 실천이 練己의 핵심으로서 이는 수련의 전제조건일 뿐만 아니라 수련 전, 수련 후에도 지속적으로 실천해야할 덕목으로서 강조하고 있다. 소위 신고에서 말하는 功完으로서 공적을 완수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성명쌍수론에서 밝힌 수련법은 命의 수련, 즉 호흡을 통한 氣의 축적을 우선하고 이에 따라 성, 즉 마음수련으로 가는 단계를 거친 다음, 마음과 기를 동시에 수련하는 단계적 합일법을 제시하고 있다.


호흡을 통한 기의 축적법과 느낌은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1) 가부좌의 자세로 정좌한 후 시선은 코끝을 보고 코는 배꼽을 향하게 한다.

2) 마음을 고요하게 하여 생각 자체를 끊으며 기다리면 협척관(옆구리의 갈비뼈와 배가 닿는 부분) 부근에서 기의 움직임이 느껴지며, 경맥이 소통되고 사지가 부드럽게 된다.

3) 털구멍이 가려워지고 방광이 타는 듯하며, 허리 위 양쪽 신장이 끓는 듯하거나 배꼽 부근에서 따뜻한 감촉이 느껴지면 선천의 丹이 발동하는 징후이다.

4) 이때 급히 채취하여 후천기와 섞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뜻한 기운이 아랫배에서 발동하면 이를 협척관을 통해 등 뒤로 타고 머리위로 올려 보낸다. 그 후 다시 가슴부위(黃定)로 내려 보낸다.

5) 黃定에 이르면 이를 一心으로 굳게 지켜 합일시킨다.


다음 단계는 주천화후이다. 周天의 의미는 앞에서 정염의 방법론에서 잠깐 설명하였거니와 권극중은 구체적인 형태와 인체의 숨길로써 말하고 있다. 즉 周天은 우주론에 기인하는 바, 천체의 순환을 대우주로 보고 인체를 소우주로 본다는 의미에서 기의 순환을 뜻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소주천, 대주천이라 하여 상체에서 순환하는 기를 소주천, 발바닥까지 전체를 순환하는 기를 대주천이라고 하는데, 소주천에 대해 권극중은 하단전에서 등뒤 독맥을 경유하여 머리, 가슴을 거치는 임맥으로 통하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 경로를 표현한 것은 미려(꼬리뼈) → 명문(요추 2-3번 사이) → 이환(흉추와 경추사이) → 상악(정수리) → 입 → 하단전 순으로 표현하였다. 대주천은 인중(윗 입술 위)으로부터 시작하여 가슴, 하단전, 양 허벅지, 발바닥 등을 거쳐 독맥으로 이어지는 순서를 말한다고 하였다.

火候의 의미를 권극중은 구체적인 의미로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몸속에 있는 純陽의 기를 인체에 동화시킨다는 뜻인데, 火, 즉 불의 개념을 세부적으로 논하고 있는 것이다.

불의 기운은 인체 내의 水火 2개의 氣 중 육체는 순수하게 陰의 기운이라 하였다. 즉 몸을 水의 기운으로 형성된 물질개념이라 한다면 내부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양의 기운을 火라고 하는 바, 상대되는 개념으로서 사용한 것이다. 구체적인 수련의 형태로서는 최초의 하단전 기운을 藥, 수련과정에 일어나는 열기를 火, 완성된 단계에서는 丹이라고 표현하였다. 따라서 화후의 개념은 수련 단계에서 일어나는 따뜻한 기를 인체에 동화시킨다는 뜻으로서 이는 인체의 전면부인 임맥, 후면부인 독맥을 한 바퀴 돌면 周天이 된다는 뜻으로 설명한 것이다.

어떤 방법으로 주천화후하는지에 대해서는 호흡과 마음의 집중을 통해서라고 하였다. 즉, 性命雙修論인데, 요즘의 개념으로는 의념과 호흡의 합일로서 調心과 調息의 동시 수련법이다.

偶人은 주천의 개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불이란 호흡을 뜻한다. 마음과 호흡은 서로 의존관계에 있으므로 마음이 평온하면 호흡이 고르고 어지러우면 거칠다. 노자가 끊어지듯 하되 끊어지지 않게 하라는 의미는 바로 호흡이 고른 상태이다. 화후는 불의 기운이 마음을 두는 곳에 따라 이동하는데, 마음을 등 뒤로 두어 위로 오르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인체의 독맥으로 마음을 두어 서서히 위로 오른 후 정수리를 통해 아랫배까지 내려오게 하는 방법이 바로 그것이다. 결국은 숨길을 따라 생각의 집중을 통하면 화후가 되는 것이다.」


화후가 숨길이라면 권극중은 숨의 단계를 보통의 호흡에서 배로 하는 胎息, 숨 자체가 없어지는 無息으로의 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인간의 정신이 육체에 깃들면 전적으로 들이쉬고 내쉬는 숨에 의존한다.

정신은 순수한 기에 깃들이는 것으로서 숨을 안정시켜 無息에 이르게 할 것이다. 무식에 이르면 생사가 없으니, 생사는 숨에 기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순수한 기를 지킴이 곧 環丹이니, 환단은 무극에 복귀함이다」.138)


「평범한 사람은 수련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아 氣息을 할 수 있다. 도인은 丹을 얻은 후에 胎息으로 변화하며 丹이 익은 후에는 胎息이 변화하여 無息이 된다. 胎息이란 호흡이 온 몸의 毛孔 속에서 미미하게 하는 것으로서 코나 입으로 나오지 않는 것이다. 마치 아이가 어머니의 배속에서 태로 호흡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어머니의 호흡을 따르고 스스로는 호흡하지 않는 것과 같다. ……중략……

無息이란 성태가 대성하여 몸속에 또 하나의 몸이 있어 元神과 그것이 합해진 상태를 말한다. 元神과 成胎가 합해져 스스로 조화를 부려 육체와는 다르게 된 것이다.

호흡이 나고 드는 것은 생사의 상징이다. 호흡 자체가 없어지면 생사를 초월함이니, 몸의 더럽고 찌꺼기 같은 氣가 조각 조각 떠가서 반짝반짝 빛나는 것이 마치 햇빛이 창틈으로 들어와 먼지를 비추는 것과 같다. 벽관(외부와의 교류를 끊음)하고 호일(오직 하나를 추구함)하여 3년 내지 9년을 수련하면 흩어질 먼지가 없어진다. 이것이 神이 虛로 화하고 虛가 無로 화하여 낮에도 그림자가 없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으니, 眞仙眞佛의 상태라 말할 수 있다,」139)


無息의 단계는 입과 코로 숨쉬는 것이 아닌 온몸으로 숨을 쉬는 것으로써 수련자 스스로는 호흡이나 생각이 완전히 인식하지 못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偶人은 이 단계 전을 피부호흡이라 하고 있으며, 이 단계에서 無息의 단계로 발전한다고 하는데, 느낌을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단전에 계란만한 丹이 형성되고, 단 자체가 자전하면서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주기를 반복한다. 이름하여 기가 숨을 쉰다(氣息)는 느낌이 맞을 것이다. 丹이 점점 확산하여 가슴과 머리를 구분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원기둥으로서 수축과 확산을 하게 되는데, 마치 뱀이 온몸으로 호흡하듯 내몸 전체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게 된다. 그 리듬은 의식적으로 숨을 쉬는 주기와 같다. 생각 자체를 그 느낌에 동화하면서 가만히 들여다보면 어느 순간에 숨의 주기가 없어지고 환한 느낌밖에 남지 않게 되는데, 이것이 무식단계가 아닐까 한다. 즉 무식이 오기 전에 온몸으로 행하는 피부호흡이 먼저 오므로 이 단계에서 더욱더 고요한 마음의 청정상태를 유지해야 무식으로 가게 된다.」


또한 偶人은 無息을 잘못 이해하여 일상적인 호흡을 끊는 것으로 판단, 손으로 입과 코를 막아 호흡 자체를 끊으려고 시도한 경험을 말하면서 수련은 결코 하는 것이 아니라 닦으면서 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숨길을 따라 생각을 인체부위로 돌려보면 숨은 점점 깊어진다. 단순한 시간개념으로 몇 초 몇 초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다. 청정한 마음을 유지하고 잡념을 없앤 상태에서 그냥 관조하는 것이다. 자연히 느낌이 오고, 그 느낌을 소중히 간직하면서 단계로 이동하면 수련은 되는 것이지 억지로 돌리려고 해서는 안된다. 소위 어느 수준을 달성하겠다는 욕심 자체가 수련의 걸림돌로서, 周火入魔(불의 기운은 아랫배로 내려가야 하는 것이 정상인데, 거꾸로 두뇌 쪽으로 올라가서 병의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한다.)가 되어 몸에 병이 생기거나 심하면 요절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제4절 소결론 (지감, 금촉, 조식과의 비교)


위 3인의 수련방법을 자세히 보면 삼일신고의 수련원리인 감각의 추구(止感), 부딪힘의 금지(禁觸), 숨쉼의 조절(調息)등으로 최종단계인 性을 통하라는 것을 전부 내포하고 있다. 김시습이 말한 養性의 개념과 신고에서 말하는 通性과도 근본내용은 일치한다. 방법론에 있어서 腹氣, 練龍虎는 숨쉼을 고르게 하고 의념을 통일하여 인체 에너지의 파장을 축적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調息과 禁觸의 다른 표현이다. 禁觸은 얼핏 외부와의 마찰을 생각하기 쉬우나 이는 인체 내부의 水기운과 火기운의 조화로운 운행을 뜻하는 것으로서 감정의 과다작용을 경계하는 말로 판단된다. 즉 水昇火降140)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로서는 연용호의 개념이 금촉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정염이 제기한 閉氣, 胎息, 周天火候도 위와 동일한 관점이다. 閉氣는 의념을 집중하여 아랫배에 기를 저장한다는 점에서 止感의 세부 방법론이며, 胎息은 調息의 다른 이름이다. 다만 周天의 개념은 감각의 차원에서 논해야 하는 관계로 일반 수련단체에서 말하는 임독 양맥의 돌림, 즉 水昇火降의 개념은 아니라고 본다. 왜냐하면 性을 통한다는 신고의 근본 목적면에서 볼 때 사람을 근본되는 하나로 본 관점이나 인체의 하나 됨을 의미하기 때문인데, 이는 하늘(天)을 하나로 보는 개념과 그 맥을 같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周天火候란 감각으로 하늘과 하나 되는 자리의 추구, 즉 止感의 또 다른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권극중의 無息은 수련과정에서 느끼는 세 감각뿐만 아니라, 목적면에서의 通性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숨이 없다는 것은 죽음의 세계로서 현재와 과거, 미래까지를 동일한 점에서 느끼는 깨우침의 세계인데, 한마디로 신고에 있어서의 性通功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의 설명은 백석의 개념을 인용한다.

⌜사람은 죽는다는 상념의 에너지 장은 우리의 무의식 속에 죽음을 각인시키고 있다. 원래의 근본자리를 통해 보면 육체 에너지 파장의 흩어짐이 죽음으로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죽음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은 삶에 있어서 의식의 연결 상태가 절대의 자리를 모르고 있는 때문이다. 즉 내가 가지고 있는 의식의 레벨이 저차원과 고차원의 혼합체임을 모르는 無知가 원인이지 죽음 그 자체는 아닌 것이다. 본성의 자리에서는 스스로 自覺하는 에너지가 묘하게 혼합되어 육체라는 물질로, 영혼이라는 비물질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죽음은 신고에서 말하는 心氣神의 흐트러짐을 말하는 것이지 원래 자리인 性命精까지도 소멸되는 것이 아닌 것이다.⌟


결국 道家 계통의 수련법을 정리한 김시습이나 정염, 권극중도 삼일신고의 내용을 방법론으로 저술한 것으로서 그 근본은 동일하다고 할 것이다.



제5장 삼일신고 수련원리의 현대적 적용


선지자들은 수련에 대한 의미를 사랑의 도로써 정확하게 이야기하고 있다.141) 몸을 건강하게 하여 천년만년 산다는 장생불사는 변화와 소멸의 원리를 거스른다 하여 바른길이 아니라고 했고, 공중부양이나 투시, 염력, 축지 등 초능력의 얻음은 잡술이라 하여 철저히 금기하였으며, 이를 사용하는 자는 단명한다고 하였다.142)

수련의 참 목적이 性通功完이라고 할 때, 수련의 입문자가 가져야 할 핵심은 功完이다. 앞에서도 설명하였지만 功의 기본은 자기완성과 타인사랑이다. 자기완성은 시대와 환경의 조건에 따라 방법론에 대한 어지러움을 탄생시켰다. 그러기에 북창은 “너무도 쉽고 간단함에도 邪術에 얽매인 사람들이 많아 용호비결을 쓴다.”고 하였다. 타인에 대한 사랑은 우주 본체가 하나임을 깨달을 때 가능하다. 즉 내 몸은 근본 되는 하나에서 나왔고 만물도 근본되는 하나에서 나왔기에 나와 만물의 뿌리가 같으므로 주체와 객체의 구분이 있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143) 불교에서는 이를 ‘萬法歸一’이라 하였고 도가에서는 ‘修一(하나를 지킨다)’이라고 하였으며 김시습도 ‘存三包一(존재하는 근원의 세 요소를 하나로 한다)’이라 하였다.144)

사람이 이를 실천해 가는 방법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삼일신고에서 제시한 근본은 止感, 禁觸, 調息이다. 감정을 그치고 부딪침을 금하며 숨쉬기를 고르게 하라는 것이고, 이는 먼저 알고 나중에 깨닫는(先知後覺) 단계론적 방법을 택한다. 단계를 무시하고 곧바로 본성의 세계로 가는 直指本心의 길도 있으나 여기서는 논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바르게 아는 수련적 인체론을 먼저 알고, 호흡의 방법과 내면의 세계를 이해하며 마음의 근본자리로 돌아가는 법을 인체변화와 함께 알아야 하는 것이다.


제1절 몸수련, 지감과 調身의 느낌과 방법론


몸 수련은 현대적 의미로 본다면 바른 호흡, 균형 잡힌 영양, 운동의 세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145) 물론 세 가지 요소뿐만 아니라, 감정의 사용과 수면 등 여러 요소가 있겠지만 설명의 편의상 몸 중심으로 논하고자 한다.

몸 수련의 핵심은 인간의 형이상학적 개념 설정으로부터 시작되는데, 몸이 움직이는 근원의 에너지가 어디냐를 놓고 본다면 근본은 하늘과 땅이다. 이를 수련적 의미로 본다면 天氣(하늘 기운)는 호흡으로부터 받아들이고 地氣(땅의 기운)는 음식으로부터 받아들인다. 이 둘은 철저히 상호간에 뿌리를 두고 교호 결합적 형태를 취하게 된다고 하였다.146) 수련적 의미의 숨쉼이 아닌 인체보존을 위한 호흡의 의미로만 본다면, 코와 입으로 들이쉰 숨은 음식의 소화와 노폐물 제거를 위한, 즉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라는 단순 공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몸(육체)만을 위한 음식이 중심이고 호흡이 보조이며, 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열을 생산한다는 것이 운동이라는 단순개념이다.

이것이 현대인의 건강 상식이 한계를 가진 이유이며 주어진 수명대로 살지 못하고 7․80살까지만 사는 이유이기도 하다. 수련의 근본은 바로 음식이 주관하는 현대인의 삶을 숨쉼(그냥 호흡이 아닌, 피부호흡, 무호흡 등의 총칭)이 주관하는 몸의 상태로 전환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몸수련, 즉 調身의 개념은 단순한 운동으로 건강한 몸을 만든다는 俠義의 개념이 아니라, 감정을 다스리고 욕망을 억제하며 타인을 이해하는 삶의 기본자세를 망라하는 실천적, 전인적 인간됨을 뜻하는 廣義의 개념인 것이다.


1. 몸에 대한 수련적 상식


수련의 목적이 건강이냐 깨우침을 통한 자기완성이냐 하는 문제는 궁극적으로 ‘弘益人間 制世利化(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고 세상을 편안케 한다)’의 관점이다. 그러나 그 출발은 나로부터 시작한다고 보면(정확한 표현은 나라고 인식되어진 개체) 현재의 내 몸 상태에 대한 개괄적 이해가 필요하다.

한의학에서 설명하는 몸 상태가 좋지 않다는 불건강, 즉 삶에서의 부정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147)


선천적 체질

   ․양인

   ․음인

                                         

생활습관

․성생활

․지나친 감정

․노동의 강도


               

음식의 섭취

․영양상태, 폭음, 폭식

  여부

․유독성 음식(술, 담배)

       

외부기운

․기후의 영향

․환경요인

  (물, 공해)


위의 도표에서 보듯, 개인의 건강한 삶은 여러 요소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나의 의지 밖에 있는 것은 체질과 환경이고 의지 안에 있는 것은 음식섭취와 생활습관이다. 권극중이 말한 練己의 개념은 자기수련을 뜻하는 용어로서 위에서 말하는 생활습관과 음식의 균형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생활습관인데, 몸 수련에 있어서의 상식은 적당한 노동, 감정의 균형, 절제된 성생활이 핵심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노동과 운동이 과거에는 구분이 없었으나 오늘날에는 직업이 세분화되고, 운동자체가 직업으로까지 발달된 경향이 있고 보면 “몸은 움직이고 마음은 다스린다”는 수련의 핵심은 좀 더 설명을 필요로 한다.


2. 운동과 노동, 도인의 본질


생활습관 중 직업적 몸의 움직임은 노동이고 호흡을 통한 에너지의 교환을 운동으로 정의한다면, 수련적 의미로서의 움직임은 導引이란 개념을 사용한다. 즉, 노동과 운동의 개념 구분없이 마음을 긍정적인 상태로 한 후 움직이는 모든 동작은 導引이다. 끌어당기고 내뱉는 일체의 행위로서 호흡과 결합된 움직임을 말하는데, 생각이나 감정, 인식, 충동 등 마음의 변화없이 순수하게 몸의 움직임을 뜻하는 말이다.148) 따라서 현재 각종 수련단체(요가, 국선도, 단학선원 등)에서 행하는 육체요법은 도인체조의 법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중국권 내의 태극권, 우슈나 권법, 무술의 道로써 목표를 위한 이름(우슈, 태권도, 검도, 합기도) 또한 몸의 움직임을 통한 도의 길을 보는 것이 이러한 이유이기도 하다.

올바른 도인의 본질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가 핵심인데, 이를 위해서는 육체의 움직임에 대한 음양관적 논리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음양의 개념은 본고에서 논할 바가 아니나, 움직임적 측면에서만 본다면 뻗는 동작은 陽이고 당기는 동작은 陰이다. 양의 본질적 기능은 發散이며, 물질의 형태가 아닌 기의 상태로 보는 것이다. 음의 본질은 收斂과 貯藏으로서 물질의 형태이다. 오늘날의 운동종목으로만 본다면, 내뻗는 동작 위주의 축구나 배구, 테니스 등 구기운동과 태권도 등은 양의 운동이라 할 것이고, 끌어당기는 유도나 레슬링 등이 음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몸의 상태로 보아도 대략 유추가 가능한데, 양의 운동종목은 몸매가 늘씬한 반면 음의 운동 종목은 근육질 위주이다. 근본적으로 양운동은 발산이고 음운동은 저장이기 때문으로 보는 것인데, 도인의 관점에서 본다면 어느 한 쪽에 치우친 것이 아닌, 당김과 내어 미는 동작의 조화가 가장 좋다고 할 것이다. 실제 요가의 각종 동작이나 태극권의 움직임 등은 당김과 내어 밈의 전신조화를 목표로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제2절 調息, 호흡 수련과 방법


크게 보아서 기수련은 호흡 수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단전호흡, 뇌호흡 등 모든 수련단체들이 호흡 위주로 명칭을 붙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거니와 실제 도인체조, 심신이완법 등 수련의 예비동작 모두가 호흡을 하기 위한 준비단계인 것이다. 따라서 호흡과 관련한 문제는 이 논문의 핵심주제이므로 좀 장황하게, 그리고 해부학적 및 수련적 모든 관점을 망라하여 논해 보고자 한다.


  1. 호흡의 생리학적 전개149)


인체가 필요한 산소를 받아들이고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과정을 호흡이라고 한다. 호흡활동은 횡격막, 늑간근 등의 호흡근육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吸氣 시에는 횡경막과 외늑간근의 수축으로 인해 흉곽용적이 커지게 되고, 흉곽 용적에 반비례하여 흉곽 내 압력은 감소하게 되므로 쉽게 공기가 폐 내로 유입된다. 반면, 呼氣 시에는 횡경막과 외늑간근이 이완하여 흉곽 내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공기가 쉽게 폐로부터 배출된다.

폐포와 폐포 모세혈관, 조직과 조직 내 모세혈관 사이에 일어나는 가스교환은 확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확산은 분압차에 의해서 생긴다. 즉 폐포 내의 산소분압은 폐포 모세혈관을 흐르는 혈액의 산소분압에 비해 높기 때문에 폐포 내에서 폐포 모세혈관 내로 산소가 확산되어 들어간다. 이산화탄소의 확산은 산소와 반대 방향으로 진행된다. 분압차 이외에 가스 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확산 경로의 길이, 폐포 주위 모세혈관의 혈류량, 혈액 내 적혈구 수 및 헤모글로빈 농도, 폐포 환기량 등을 들 수 있다.


2. 수련적 의미로서의 호흡


수련에 있어서의 숨쉼은 단순한 가스교환이라는 생리학적 관점 이외에 천지자연과 나와의 교류로 본다.150) 우리가 생각하는 인체는 외부로부터 단절된 별도의 육체인 것 같지만 피부 내면을 자세히 보면 온통 구멍 천지이다. 남자는 약 70조 개, 여자는 약 60 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것이 몸이기에 각각의 세포와 외부와의 교환은 어느 때든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단지 코와 입으로 들이쉬는 숨의 양이 피부와는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많고, 또한 우리가 인식하기 때문에 입과 코로 숨쉰다고 생각하고 있을 뿐이다.151)

숨이란 생명활동의 내적 흐름이다. 여기에도 길이 있고 운동이 있으며 대사활동을 한다. 시작하는 머리와 끝나는 꼬리가 있고, 들어오는 내용물과 나가는 폐기물도 있다.152) 외부의 氣가 들어와 내부의 폐기물과 동화하는 과정을 거친 후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김시습과 정북창, 권극중은 火候라고 표현하였고 文武의 방법이 있다고 하였다. 문무의 방법이란 움직임과 고요함을 뜻하는 것으로써 동작과 호흡의 일치를 정의한 것이다.

전통 동양학에서는 숨쉼을 통해 入出하는 기를 6개로 구분하였는데, ‘風, 寒, 署, 濕, 操, 火’가 그것이다.153) 이것은 존재는 있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고, 6氣는 결국 인간의 몸을 이루는 4대 구성, 즉 ‘氣, 水, 火, 土’의 성분이 된다는 것이다.154) 따라서 숨을 쉰다는 것은 외부의 천지 기운을 내 몸과 함께 동화하는 행위인 것이므로 수련의 핵심이 호흡, 그 중에서도 내호흡이 가장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셋이 하나가 되게 한다는 신고에서의 의미로서 볼 때, 정기신을 하나로 합하게 하는 행위의 처음과 끝이 숨쉬기임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3. 기본 원리, 자세, 調心과 調息의 방법과 느낌


인체를 수련적 의미에서는 精과 氣(몸), 氣와 神(마음)으로 구분하여 논한 바 있지만, 실제의 방법론은 자세와 호흡, 뜻으로 설명할 수 있다.155) 偶人과 法光, 百石은 스스로의 경험과 느낌 세계를 위와 같이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며,그 내용을 자세히 분석하여보면 신고에서 말한 원리와 동일하였다. 방법에 대한 질적 연구자 세 사람의 제시 내용을 권극중과 정염, 김시습 등이 기록한 조선시대 문헌과의 비교 결과 핵심 방법론은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가 가능하였다.


<기본 원리>

ㆍ고요한 마음 상태가 가장 우선한 다음, 호흡에 임한다.

ㆍ자세는 단아하게 앉아라.

ㆍ뜻을 집중하여 숨쉬기를 하되, 각 단전의 자전축을 찾아라.

ㆍ몸의 움직임(도인)과 호흡, 의념은 항시 통일되어야 한다.

ㆍ수련의 처음과 끝은 호흡을 축으로 하고, 생각과 동작은 보조이다.

ㆍ세단전을 완성한 후 하나로 통일 시켜라.


<자세의 기초>

반가부좌, 결가부좌를 하되 회음혈이 바닥에 닿아야 한다.

ㆍ허리는 세우고 눈은 코를 보며 코는 배꼽을 향한다.

ㆍ손은 바닥이 위로 향하되, 무릎에 놓거나 배 밑에 포개 놓는다.





<호흡의 방법론>

ㆍ숨길에는 병풍을 치듯하고 입은 닫아라.

ㆍ실꼬리의 처음과 끝을 가지고 아랫배까지 끌어 내려라.

ㆍ혀끝은 입천장 돌기에 닿아서 숨길을 터주어라.


위에서 말하는 수련원리와 자세, 호흡의 방법론은 설명이 길게 되나 실천의 입장에서는 간단하다. 마음과 호흡, 집중을 위한 단전의 자전축을 찾는 방법 위주로 세 사람의 질적 연구자가 제시하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호흡 이전에 실시하는 練, 즉 몸의 유연성이나 호흡의 깊이를 하기 위해 導引으로 충분히 몸이 건강하게 된 상태 다음이라야 한다. 인체의 火氣가 위로 뜬 상태라든지, 감정이 수시로 변하여 생각이 많다든지 하는 부적절한 상태에서는 수련을 금해야 함은 물론이다.

우선 기초 준비는 반드시 고요한 마음상태가 전제 조건임을 강조하고 있다.

감정의 변화에 따라 氣가 변화하거나 氣質이 탁한 것은 한의학 교과서에서 너무나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즉 분노하는 감정은 기가 위로 뜨고(怒氣上), 슬픈 기운은 울을 맺고(憂氣鬱), 비통한 기운은 흩어지며(悲氣消), 기쁜 기운은 늘어지고(喜氣緩), 고민하는 기운은 뭉친다(思氣結)는 것이다.

따라서 육체에 뿌리를 둔 감정, 즉 희노애락의 일반 감정 자체를 없앤 다음에 호흡에 들어가라는 것은 기본으로서, 이는 調心에 해당한다. 그러나 감정 자체를 다스리기 어려운 초보자는 생각으로 생각을 죽이기 어렵기 때문에 호흡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숨에 정신을 집중하고 숨길을 따르는 길을 찾는 방법이 수련으로 설명될 수 있고, 숨쉼을 통해 감정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調心과 調息은 결코 구분되어 설명하거나 행동하는 것이 아닌, 동시 진행형으로 보는 것이다.

두 번째, 단아하게 앉아라는 의미는 자세의 기본이다. 몸의 균형이 비정상적인 사람, 예컨대 아랫배가 나왔다든지 비대한 사람은 단아하게 앉지를 못한다. 생활습관이 육체의 요구대로만 움직인 사람도 신체의 불균형으로 단아하게 앉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요가를 정신 집중이란 원래의 의미가 아닌 몸만을 위한 체조로만 인식하거나 수련을 기체조로만 알고 있는 사람도 허다하다. 단아하게 앉을 수 있는 선결조건이 몸을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앉는 기준은 몸안에서 찾아라고 선인들이나 현재의 수련자들은 똑같이 이야기 한다.156)

즉, 하 ․ 중 ․ 상 단전이 서로 포개져서 기울임이 없어야 하는데, 수직으로 세 덩어리가 바로 선 상태이다. 우선, 다리를 가부좌 또는 반가부좌 상태로 놓고, 엉덩이 사이의 회음혈(항문과 성기 사이)이 바닥에 닿도록 하체가 고정되어야 한다. 다음에는 허리를 곧추세우고 머리를 뒤로 젖혔다가 턱을 앞으로 당기며 머리, 가슴, 아랫배가 일직선상으로 놓이게 된다. 구체적인 중심점을 놓고 설명하면 회음, 단중, 백회의 세 혈자리가 수직으로 서게 된다는 뜻이다.

세 번째, 각 단전의 자전축을 찾는다는 의미는 앞서 김시습이 말한 內觀法이다. 즉 내 몸 속을 본다는 듯인데 이는 기의 드나드는 구멍에서부터 연결되는 축, 여기서 파생되는 중심에너지의 자전과 공전을 느껴야 한다는 것이다. 하단전의 자전축은 중심자리로 가는 미려(꼬리뼈)와 요추 2ㆍ3번 사이의 명문혈이다. 즉 명문혈에서 시작된 축의 극이 배꼽 아래 극까지를 연결하는 선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초보자의 수준에서는 느끼기 힘들다. 고요한 마음상태에서 꼬리뼈에 콧구멍이 뚤려 있다고 상상하고 그리로 숨의 시작을 잡고, 배꼽 부위까지 일직선으로 들이쉰 다음 숨의 끝을 배꼽 아래에 두면 점차로 축을 느끼게 된다. 중요한 것은 자전의 의미로서 배꼽 아래 하단전의 중심이 원을 그린다는 것과 그것도 아주 미세한 떨림의 형태로서 시계 방향으로 돈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그 떨림의 자전이 하단전의 중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꼬리뼈와 요추까지 연결되어 전체의 덩어리가 파동으로 전해지는데, 이를 진동이라 하여 수련 입문단계에서는 대단히 중요하게 강조하기도 한다.157)

또한 하단전이 자전하기 전 진동은 단전 그 자체로서 펄떡이기도 하는 바, 앉은자리에서 엉덩이에 강한 충격형태로 전해져 가부좌 상태에서 마치 개구리같이 점프를 반복하기도 한다. 보통의 형태는 강한 내부의 힘이 아랫배 뭉치에서 폭발의 형태로 온몸으로 전해지는데, 이 때 코로부터는 강한 “킁” 소리와 함께 뿜어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중단전의 자전축을 찾는 것은 하단전을 알고 느낌이 있으면 의외로 쉽다. 배꼽과 명치, 가슴 중앙과 등뒤의 견갑골 아래 부위까지를 상호 연결하는 직선의 집합이 중단전의 축이다. 실제 중단전이라 부르는 마음의 가장자리는 횡경막을 둘레로 하여 등 뒤, 목 아래 부분 전체를 아우르는 중심으로서 명치 윗 부분과 목 아래 천돌혈까지를 일컫는 원의 중심점을 일컫는 말인데, 한의학에서는 전중 또는 단중혈이라 부르는 곳이다.158) 통상 수련단체에서는 이곳을 「임맥이 막히는 핵심」으로 보고 있으며, 인체의 火氣, 즉 불기운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막아 놓은 곳으로 이해시키고 있다.

축을 찾는 내관법은 숨길을 통해 하는데, 하단전의 중심에서 서서히 위로 올라오는 숨길, 등 뒤 神道혈과 丹中혈을 연결시키는 숨길, 天突혈과 丹中혈을 연결시키는 숨길 등이 있다.

초보시절에는 각각의 길을 따로 찾으나, 어느 정도 집중이 된 상태에서는 세 길이 동시에 하나의 점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수련이 가능하다. 어느 정도 고요한 상태에서 내관이 이루어질 경우 가슴이 마치 박하향기 같이 달콤하고 화~한, 그러면서도 시원한 느낌이 오는데, 어떤 경우는 본인의 감정이나 의지와 상관없이 눈물이 마구 쏟아진다고 한다. 즉 하단전의 진동파장이 가슴을 울려 숨길이 열어지면 독맥의 물(水)기운이 작동하여 눈물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보면 될 것이다.

상단전의 자전축은 이마 중앙 하단의 印堂혈과 뒤통수의 玉針혈을 연결하는 축과, 머리 정중앙 百會혈과 印堂혈을 연결하는 두 축이 있는데, 중요한 것은 百會혈로부터 오른쪽으로 도는 원추 모양으로 자전하는 형태의 축이다. 실제 하단전과 중단전의 느낌이 없이 명상만으로 수련하는 경우 상단전의 감각이 오는 경우가 많은데, 원추모양의 빛이나 쐐기형태의 묵직한 기운이 짓누르는 느낌으로 온다고 한다. 무속에서의 신내림 현상은 상단전과 중단전의 연결 통로가 없이 머리부위에서만 느끼는 감각으로서, 가슴과 머리가 따로 분리된 형태이기 때문에 몸이 아픈 것이다.

상단전의 중심은 인당혈에서 안으로 한 치 정도159) 들어간 자리이다.

정수리의 백회와 뒤통수의 옥침이 상단전의 중심과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점으로서 느껴질 때는 인당혈이 수축운동을 반복한다고 한다. 중국에서 기공수련을 오래한 사람은 인당혈의 피부 빛깔마저 푸르스름하게 변한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160) 원리상으로는 충분히 이해가 가는 말이다. 인당혈의 수축운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하단전의 중심과 연결되는 경우는 대폭발, 즉 빅뱅(Big Bang)이 일어나게 되는데, 빅뱅 이후의 색깔이 자색으로 은은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폭발은 하단전과 상단전에서만 일어날 뿐이고 중단전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하단전은 파동의 결집, 즉 열의 형태로서 주변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상단전은 고도의 밝은 흰빛으로 폭발한 후 고요와 정적의 상태로 남게 된다. 이른바 명상의 기본조건이 형성되는 셈인 것이다.

이러한 단계별 단전의 연결축이 완성된 것이 1차 변화이다. 김시습은 앞서 아홉 번의 변화가 있어야 仙의 대열에 낄 수 있다고 하였고, 권극중 또한 上仙의 경지는 육화된 몸이 아닌 결집된 빛의 에너지 상태로 말한 바 있으므로 변화의 아홉은 수긍이 가는 일이다.161)



제3절 몸의 변화 및 부작용


권극중은 수련이 진행될수록 호흡상태가 변하고, 정염은 몸에서 느끼는 감각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즉 권극중은 일반호흡(丹息)⇒배호흡(服息)⇒없는 호흡(無息)으로 진행되는 호흡의 변화를 제시하였고 정염은 허리가 끓는 느낌, 열감이 전신으로 확산, 하단전의 결태(丹)등을 제시하였다. 부작용에 관해 세밀히 기술한 바는 없으나, 초보단계에서 느끼는 가슴 통증, 풍사와 고황 등의 질병원인이 기의 작용이라는 본질만을 논한 바는 있고, 납과 수은으로 만든 丸을 복용했다는 기록으로 보아162) 중독으로 사망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偶人과 法光은 실제로 수련 도중 氣의 흐름이 역행할 때 나타나는 변화에 대해 경험을 가지고 있어 그대로 수록하기로 한다. 다만 개인의 변화를 일반화하기에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나, 이러한 형태로 되리란 것은 유추가 가능하므로 인용하는 것이다.


1. 하단전(精) 수련과 변화, 부작용


수련의 방법론에서 밝혔듯이 하단전, 즉 精의 수련은 호흡과 의념을 배꼽 밑 한 치에서 안으로 세 푼 정도 들어간 곳에 호흡의 끝을 담아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적으로 실시할 경우 최초 단계는 따뜻한 熱感으로부터 시작된다. 열기가 느껴지면 점차 가슴, 얼굴들이 후끈거리게 되는데, 초보의 경우 아픈 곳이 많이 느껴지는 특징이 있다. 정염은 “가슴이 지끈거리고 통증이 온다”는 것을 말한 바 있는데,163) 가슴뿐만 아니라 어깨, 목 및 天突혈까지 답답한 증세가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현상은 명현이라 하여 몸 속에 있는 탁한 에너지의 반발로도 설명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음식으로 인해 구성된 몸이 호흡으로 인해 맑아질 때 일어나는 최초의 반응이라 할 수 있다. 원래부터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이 무리한 호흡을 계속하면 기막힘 현상이 머리로 올라와 두통이 굉장히 심할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수련을 멈추어야 한다. 명현과 주화입마를 구분하지 못할 경우 요절하는 경우도 생기기 때문이다. 즉 수련의 전제조건이 練己나 導引이 불충분하여 호흡 수련을 시작하지 말라는 경고인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허리주변의 帶脈으로 돌아가는 따뜻한 기운이다. 호흡이 깊어져 열감이 어느 정도 뭉치면 소위 하단전이 살아난다고 하는데, 마치 배속에서 뱀이 꿈틀거리듯 하다가 무겁지도 않으면서도 무겁고, 무거우면서도 밝은 느낌의 일정한 結胎가 느껴지면서 동시에 옆구리에서 허리로 돌아가는 氣의 느낌이 감지된다. 통상 오른쪽 옆구리로부터 허리까지가 먼저 돌고, 나중에 왼쪽 옆구리로부터 허리까지 돌아가는 단계적 느낌이 일반적이나 한번에 같이 도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대맥의 뜻이 허리띠의 맥이란 의미로 보면, 氣가 돌아가는 부위는 혁대를 매었을 때의 부위 전체를 일컫는다고 보면 될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결태의 이동이다. 통상 메추리알 만한 정도의 胎는 명치부근이나 치골 위까지 이동이 있다. 별도의 의념 집중이 없이도 어떤 경우는 치골 위에서, 어떤 경우는 좌우 옆구리나 명치까지 오르내리거나 멈춰져 있는 상태에서 느껴지기도 한다. 정염의 용호비결에서는 이를 주역 8괘로 하여 이중에서 감중까지의 이동 통로로서 명시하고 하였다.164)

네 번째 단계는 허리로부터 시작하여 견갑골 사이까지의 후끈거리는 열기의 확산이다. 통상 소변을 보고 난 다음 몸이 떨리는 부위가 여기인데, 소변 후의 떨리는 느낌보다 더욱 뜨거운 기운이 허리로부터 시작하여 등 위까지 주기적으로 확산되는 것이다. 이른바 火候라고 표현한 정염의 이론인데, 실제 명문혈에서 시작된 따끈한 기운은 척추 위로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후끈 후끈하며 달아오른다. 이 정도 되면 입안에 단침이 가득 고이고, 머리는 아주 청량해진다. 또한 혀끝을 상악골(입천장) 안쪽에 계속 댄 상태에서는 입안 가득히 전기가 통하는 느낌의 강한 전류가 오기도 하고, 입안 양쪽에서 나오는 침이 고농도 설탕같이 달다.

그러나 하단전 위주의 호흡 및 의념 수련시 몸의 경락이 제대로 소통되지 아니한 상태거나, 충분한 도인 체조없이 곧바로 호흡 수련을 시작할 경우는 심각한 부작용이 오게 된다. 즉 음식으로 배가 찬 상태에서는 그냥 폐로 하는 일반적인 숨쉬기를 해야 함에도 호흡의 끝을 아랫배로 무리하게 끌어내리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때 소위 아랫배가 나오는 것이다. 달마그림에서의 아랫배가 볼록하게 된 것은 眞氣로 가득 찬 상태를 그린 것임에 반해, 練己없이 실시하는 복식호흡은 아랫배만 나오고 숨이 가빠진다. 더하여 얼굴이 벌개지고 귀에 소리가 나게 되며 눈까지 침침해지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달리기 운동보다 못한 역효과가 나게 되는 것이 이 경우이다.


2. 중단전(氣, 또는 命)의 수련과 변화, 부작용


중단전 수련은 별도로 하는 것이 아님을 옛 선인들은 강조하고 있다.165) 단지 의념, 즉 마음수련을 호흡시 어떻게 하느냐 하는 문제로서 어디까지나 마음이 主이고 호흡은 從이다. 왜냐하면 마음에 대한 구조나 생각의 흐름이 어떻게 숨길을 따라가야 하는지 확실한 개념을 알고 수련에 임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로 서술하는 것이다.

생각이나 감정의 흐름을 經絡이라고 한다.166) 생리적 기능의 흐름이 아닌 감정과 무형의 氣 통로를 일컫지만, 어떤 경우는 氣가 피를 타고 흐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무형의 통로하고 할 수는 없다. 다만 경락이 숨길을 따라 육체화 된 몸을 돌되 마음에 따라 움직임이 진행된다. 즉 마음을 훈련하는 것이 중단전 수련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마음의 구조는 프로이드나 융같이 생각의 생각을 검증한 사례도 있으나, 수련적 의미는 불교의 修心論이 가장 검증된 이론이다.167)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마음은 육체에 뿌리를 두고 육체가 조종하는 마음이다. 이는 육감으로써 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 맡고, 만져서 얻는 정보과 뇌에 전달되어 내 나름대로의 선악이나 추하고 아름다움, 옳고 그름 등의 분별력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천부경에서는 이를 큰 氣가 합해지면 6개가 생긴다(大氣合六生)고 하였는데,168) 6개의 기운이란 것은 인간의 몸에만 적용할 경우 감정, 즉 분별력까지를 일컫는다. 따라서 육체는 감정이 판단하는 곳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내가 좋다고 판단하는 것이 타인은 싫다고 판단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 근본되는 육체에 뿌리를 둔 감정의 제거야말로 마음수련의 핵심인 것이다.169)

방법론에 있어서는 목표를 무념에 둔다. 숨쉬기를 가늘고 길게 하되 각 감정을 숨길에 실어 하단전으로 보낸 다음, 하단전에서 그 감정을 불태우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분노하는 기운은 위로 뜬다는 한의학의 교과서대로 그냥 두면 위로 뜨는 火의 기운을 의식적으로 하단전으로 끌어내려야 하는데, 단순한 생각만으로는 아래로 내려오지 않기 때문에 숨길을 따라서 내려오는 방법을 쓰는 것이다.

마음 수련에 있어서의 최초 마음은 분노, 슬픔, 기쁨 등 육체에 뿌리를 둔 감정의 제거가 1차 목표이고, 하단전에 胎가 형성된 다음에는 감정자체가 생기기 않도록 하는 2단계, 감정이나 생각 등 기본마음이 육체를 주관하도록 하는 3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옳으며, 최종단계는 상단전의 神과 합해져 육체와 마음이 완전한 하나로 되어 근본자리와 통하게 하는 것이 바른 방법이다.

호흡과 생각을 일치시켜 하단전으로 내려 보내는 방법을 잘못 이해하여 중단전 수련이 가슴의 丹中穴 호흡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폐에 종양이 생기기도 한다. 앞에서 설명한 단전의 자전축은 꼬리뼈에서 배꼽, 배꼽에서 田中으로 진행하는 것이 기초임에도 丹中穴을 통한 기의 입출을 시도하면 최초에는 가슴이 열리는 시원함을 맛볼 수 있을지는 모르나, 수련이 진행될수록 목밑의 天突穴이 꽉 막히게 되고 쇄골 부위로 뚝뚝거리는 소리와 함께 숨이 답답해진다. 초보자가 하단전의 기운없이 마음수련만 계속할 경우 감정이 예민해지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유 없이 슬퍼하거나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고함ㆍ욕설 등을 터뜨리기도 한다. 일견 쌓인 감정의 해소로 인한 카타르시스 효과로 오해하기도 하는데 이는 순간일 뿐이다.

사이비 종교의 경우 이러한 카타르시스적 느낌을 강요하기 위해 웃음ㆍ박수 등을 통한 몰입으로 유도한 후 외부로의 감정 유출을 통한 성령의 은혜를 강조하기도 한다. 마음수련에 있어서의 목적만 순수하다면 이러한 방법도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마음수련의 방법론 중 또 다른 하나는 소위 음성진동 수련이다. 불교의 염불, 민족종교에 있어서의 呪文 등이 이러한 예로서 소리를 통한 집중과 이완, 호흡의 평정 등이 그 기본이다. 神誥에서의 性, 命, 精이 외부로 표출될 시는 光, 音, 派로 된다고 함은 앞에서 설명하였거니와 이 때의 音은 곧 소리를 통한 수련방법으로 이해해도 될 것이다. 실제 正易을 창시한 일부 김항 선생의 경우는 처음부터 끝까지 음성수련만으로 주역을 터득하였고, 이후 정역을 창시한 道人으로 불렸다. 그는 ‘음, 아, 이, 오, 우’의 오음만으로 수련을 하였다고 한다. 陰의 소리인 ‘이’와 ‘우’, 陽의 소리인 ‘아’와 ‘오’를 번갈아 한 후, 중성음인 ‘음~’소리를 통해 하단전의 파장을 가슴으로 진동하도록 하여 神인 상단전을 터뜨리도록 하였다고 하는데, 효과가 빠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당연히 잡념이 없이 집중이 잘 될 것이며 의념 자체가 진동의 느낌에 몰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기공에 있어서 六字潔 수련도 여섯 개의 소리를 번갈아 가며 내고, 자세와 의념을 집중하는 방법을 추가한 것으로서 이른바 마음수련의 한 방법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의 아사하라가 창시한 옴 진리교의 경우는 ‘옴’ 소리를 통한 수련을 핵심으로 하는데, 이는 상단전을 위한 음성수련법이다. 옴은 우주음이라 하여 앞의 음, 즉, ‘아, 이, 오, 애, 우’의 다섯 소리를 합한 音으로써 생명의 진동을 강하게 하여 죽어가는 생명도 살리는 氣가 있다고 한다.170)

물론, 옴 진리교는 동경역 독가스살포 집단으로서 전 세계로부터 사이비 집단의 대명사로 불리는 교주는 사형선고를 받았지만, 수련 방법만으로는 가치가 있다고 보여진다.


3. 상단전(性) 수련 및 느낌과 부작용


神의 수련은 집중과 이완이 핵심으로 일반적으로 명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근본은 하단전 수련에 중심을 둔 집중과 몸ㆍ생각ㆍ호흡자체를 완전히 끊어 놓는 상태에서 수련자 스스로가 자기의 주관을 끈으로 놓지 않고 있을 때의 이완을 병행하는 것이 그것이다.

집중은 긴장과는 전혀 상반된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생각의 집중은 몸에 뿌리를 두고 있어 호흡의 끝에 집중한다 하더라도 긴장을 동시에 가져오기 때문에 신체 어느 부위에 굳음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통상 의념을 하단전에 두고 호흡의 끝을 집중한다고 하면 아랫배에 근육의 긴장을 가져와 복근단련 정도의 굳음을 가져오는 경우가 허다한 경우가 그것이다. 실제 수련자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하복부의 단단함을 마치 內功의 완성인 양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집중이 아닌 긴장을 통한 근육의 굳음을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권극중의 性命雙修論은 두뇌와 마음수련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맑은 생각의 집중과 호흡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근육을 완전히 이완한 상태에서 하단전의 결태가 느껴지면 이를 온몸으로 周天하고, 이어서 맑은 호흡으로 인당(양 눈썹 위) 혈의 전방에 빛의 세계를 둔 상태에서 홀로 빨려 들어가는 듯한 느낌으로 스스로를 던지면 일순간 번쩍하는 폭발(Big Bang)이 오는 경우가 있거나 오로라의 출렁거리는 빛을 보게 된다고 한다. 시간과 공간이 없어지는 상태인데, 의식으로 느껴질 수도 없고,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차원의 세계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경험자의 설명에 의하면 인당의 집중된 빛의 느낌은 황홀 그 자체라고 한다. 또한 오로라의 빛 형태는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출렁이며,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거나 온몸을 감싸고, 어떤 경우는 일정한 사람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통상 사람의 형태로 나오는 경우는 조상이라 하여 여자의 경우는 할머니, 남자의 경우는 할아버지가 보이기도 한다지만, 검증되지 아니한 경험론으로써 수련자가 가지는 일종의 주관이나 환영같은 경우가 아닐까 한다.171) 왜냐하면 독실한 신앙인의 경우는 예수나 마리아, 또는 부처가 미소 짓는 형태가 나타난다고 하기 때문이다.

생각이나 호흡의 집중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경우, 인당(이마)이나 백회(정수리), 옥침(뒤꼭지)을 연결하는 삼각축이 수축과 이완의 느낌으로 온다고 보면 될 것이다. 즉 백회(정수리)는 신생아가 갓 태어났을 때 볼록거리는 것을 본 사람들은 알 수 있지만 그러한 느낌으로, 인당(이마)은 구슬을 박아 놓은 듯한 묵직함으로, 옥침(뒤꼭지)은 지르르한 퍼짐의 형태로 먼저 느껴지고, 이어 세 삼각형이 연결되어 회전하며 자전의 느낌으로 한곳에 모이게 된다. 이것이 백회 아래 前丁으로 모여 폭발의 기초를 다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정수리에서 이마 쪽으로 2~3cm 전방에 약간 꺼진 부분이 있는데, 이곳에는 수련이 어느 정도 진행될 때 압력을 외부로부터 받는 느낌이 드는 곳이다. 어떤 경우는 마치 샤워 시의 시원한 물줄기 같은 느낌으로 쏟아져 내리기도 하고, 어떤 때는 뱀의 머리가 꿈틀거리듯 움직이기도 하며, 어떤 때는 원추형의 삼각빛이 꽉 박히는 듯한 느낌으로 뚫리기도 한다. 개인마다 느낌의 차이는 있으나 상단전(神, 性)수련이 진행될 때 받는 감각은 대략 위와 같은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보면 될 것이다. 결국은 폭발의 기초로서 오는 징후인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수련자들이 각종 이상 체험을 하게 되며, 잘못될 경우 무속인이 되기도 하거니와 더 심할 경우 환시, 환청, 노이로제 등 정신 이상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빛의 형태로 먼저 나타나지만, 이상하게 진행될 경우는 공포 체험, 머리의 공명 현상, 귀의 이명 현상, 눈의 환시 등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른바 귀신들림이라고 하는 다중인격의 현상도 이 때 나오게 되는 것이다. 法光은 이러한 잘못된 현상 때문에 과거 선인들이 방법론을 일반에 제시하지 못하고 비밀스럽게 전승되어온 이유라고 하여, 반드시 단계별로 진행하여 몸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즉 하단전이 강화되어 흔들리지 않는 중심이 있을 때만이 이러한 이상 현상을 극복한다고 하였다. 하ㆍ중ㆍ상단전으로의 변화를 다른 말로 하면 練精化氣, 練氣化神이다. 이는 정이 기로 변하고 기가 신으로 바뀐다는 말로서 하단전 강화, 즉 정의 수련이 기초가 되어야 다음 단계로 갈 수 있다는 것으로써 수련의 처음과 끝이 호흡을 다스리라고 하는 것과 같은 뜻이다.


앞에서 논한 상ㆍ중ㆍ하단전의 수련을 결코 각각으로 하는 방법이 아님을 각 수련자들은 강조하고 있다.

북창 정염은 폐기를 강조할 때 기와 신을 한번 더 내리라고 하였고, 권극중은 仙丹互修, 性命雙修 등의 이론을 내세워 동시 진행형임을 누누이 강조하였다. 즉 인체의 중심뿌리를 하단전에 두고 모든 수련은 여기를 기준으로 하여 호흡이든 의념이든 동작이든 간에 축을 찾는 과정으로서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몸에서 받는 느낌 자체가 氣의 감각으로써 이해되어야 하며, 기의 질이 탁하냐 맑으냐에 따라 느끼는 감각의 순도가 달리 느껴지게 된다고 하였다. 마음을 닦아 가는 과정이야말로 氣感의 순화과정이라고 하는 것이다. 즉 몸은 정과 기, 마음은 기와 신으로 이루어졌기에 몸의 정화와 마음의 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질 때 호흡은 변화하며, 호흡을 의식적으로 맑고 장하게 할때 몸과 마음이 정화되는 관계로 이 둘은 상호 결합적이다. 따라서 몸과 마음의 동시 수련이야말로 삶 자체가 청정무위하게 변화되어 간다는 논리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수련을 통해 내가 어떻게 되어야 한다는 욕심과, 이를 통해 내가 어떤 모습으로 남에게 비춰지길 바란다는 마음은 탁한 氣로 되어 수련의 성취가 있을 리 없다고 보는 것이다.


제4절 소결론 (수련 결과)


이상에서 제기한 수련의 방법과 느낌은 결국 삼일신고에서 제기한 본래의 세 자리, 性, 命, 精을 찾는 몸의 느낌세계이다. 하단전의 精氣보전, 중단전의 命(氣)이해, 상단전의 性通이 그러한 것이다. 개인의 체험은 이보다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겠지만, 기본 전제인 건강이 어느 정도 뒷받침되고, 열정은 있되 매달리지 않는 자들이 느끼는 공통점만 기술한 것이다. 수련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논리로 이해하면 되는 수준으로써, 변화의 감각을 기술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하단전 精氣의 완성은 우선 에너지가 온몸에 넘친다는 것이다. 한겨울에도 춥지 않으며 눈 위에서도 눈이 녹을 정도의 강한 열이 몸에서 나온다고 한다. 일반인의 경우 이불을 덮지 않고 자는 버릇이 생기며, 몽정을 경험할 정도로 정력이 강해진다고 한다. 피부의 빛깔이 붉은색에서 흰색으로 점차 변해가며 손에는 氣의 덩어리를 달고 다니는 느낌과 함께 걷거나 달릴 때 숨이 차지 않는 체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남자의 경우 음성이 굵어지며 목소리를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지극히 편한 느낌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남녀를 불문하고 色慾이 없어지는 것도 공통된 현상이다.

중단전 命의 완성 느낌은 감각의 개발이다.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 가면 온몸이 아프거나 두들겨 맞은 듯한 피곤함으로 몽롱한 상태가 되며, 일대일로 사람을 만나면 상대의 감정이 전이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수련자끼리 만나면 증폭되는 에너지의 감각을 확연히 체험하게 되는데, 그냥 존경하는 마음이 우러나오는 것이다. 더불어 상대가 아프면 내가 같이 아픈 관계로 ‘萬物唯我同根’, 즉 모든 물질의 뿌리는 하나라는 체험이 있게 되는 경지인 것이다. 이 단계는 육체에 뿌리를 둔 감정이 제거되고 청정한 에너지만을 가지게 되는 수준으로서 호흡이 아닌 에너지 자체가 숨쉬는 단계로 이해된다. 즉 내부의 에너지가 외부 氣와 동화되어 피부로 하는 호흡, 氣息이 되는 것이다. 이때는 음식 생각이 나지 않아 하루 한 끼, 그것도 지극히 적은 분량의 식사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한다.

상단전, 通性은 한마디로 깨우침이다. 빛의 세계와 절대자리를 체험하고 나란 존재의 근원을 알게 된다고 한다. 시작도 끝도 없는 존재 그 자체임을 터득하고 나면 육체의 한계를 초월, 사물이 있는 그대로가 진리임을 알게 된다. 따라서 삶과 죽음의 구분 자체가 무의미함을 깨닫는 되는 것이다. 존재의 뿌리가 근원되는 하나에서 나옴을 체험하므로 통찰력이 생기고 영성의 삶으로 변화되어 간다는 것이다. 감각의 수준에서는 수면욕이 없어지고 머리가 항상 맑은 상태로 있어 소위 “깨어있다”는 표현밖에 할 수 없다고 하였다.

수련의 궁극이 위 상단전을 통함으로서 얻게 되는 절대의 체험이라면 사회 각 분야의 투쟁과 반목, 욕심은 저절로 없어질 것으로 본다. 생존에 대한 욕심이 사라지는 수준은 육체에 한정된 삶의 근본을 바꿈으로 삼일신고에서 말하는 性通功完의 세계가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제6장 결론 및 제언


수련의 고전적인 지침서를 오늘에 되살리는 이유는 단순한 맹종의 경우가 아닌 初發心의 의미를 집단의 의미에서 되살려 보고자 하는 의미 때문이다. 발해 이전의 神仙圖에는 분명 장엄한 정신세계가 있었고, 그 세계는 오늘날 물질문명의 고도화로 인해 잃어버리고 퇴화된 기능을 살려줄 寶庫라고 여겨질 이유가 충분히 있는 것이다. 인간은 전인적 존재이기 때문에 단순히 육체적, 감각적, 쾌락적인 기능만 강조하고 연구하는 오늘날의 학문은 분명 한계가 있다고 본다. 특히 오늘날의 문명은 음식 위주의 자기보존 본능만 존재하고 생명 저 너머의 세계를 하나의 신비주의로 단정해 버림으로써 문명 그 자체가 동물적 수준으로 전락해 버린 원인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접근법은 기계론적 결정관이 아닌 유심론적 초감각의 개발이다. 마음자리의 근본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은 새로운 사상이나 문명의 창조가 아니라, 인류가 생겨났을 때부터의 가치관인 동양적 道 사상을 되살리면 될 것이다. 여기에 뿌리를 두고 실천론적 입장인 수련사상의 행동화를 접목했을 때만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의미에서 ‘三一神誥’의 사상을 분석한 결과 여기에서는 우주적 본체를 하나로 보고, 거기서 파생된 세 원소를 性, 命, 精이라고 하였다. 인간자체도 우주의 본체와 동일하며, 내부를 구성하는 性, 命, 精이 있으며, 이를 통합하는 완성된 하나를 수련의 본질로 보는 것이다. 신고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중국에서는 당나라 시대에 精氣神論으로 발전한 바 있으며, 후한 환제 시대 때는 위백양에 의해 참동계로써 비법이 전파되었다고 본다면 極卽反, 原始反本의 진리에 따라 神誥를 재조명할 가치는 충분히 있는 것이다.

이의 검증을 위해 조선시대의 세 사람이 실천으로 기록한 전통 선도사상의  문헌을 분석하여 보았다. 김시습, 권극중, 정염의 수련법이 그것이다.

김시습의 수련론 중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내관법이 주목할 만하였다. 모든 수련의 핵심은 몸을 주체로 하여 마음을 대상으로 탐구해 들어가는 과정인데, 이는 집중과 이완의 조화를 통해 하는 것이다. 이 중 집중의 방법이 소위 내관법이다. 내 몸속의 오장과 기혈의 흐름을 본다는 뜻으로서, 경락이 흐르는 길로 집중하되 스스로가 체험해야 하는 것이 그 요결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정염은 단 한 마디로 閉氣를 강조하고 있다. 이는 기를 닫고 몸 내부에 기로 형성된 태, 즉 단을 만들어 이로써 숨쉼을 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폐기가 되면 氣息을 할 수 있게 되고, 이어서 無息(호흡 자체가 없음)으로 이어진다 하였으니,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명상이 바로 이러한 단계까지 섭렵해야 가능한 것이다.

권극중은 여러 가지 수련법을 이론과 함께 설명하였지만 練己에 대한 과정을 중요시하였다. 이는 수련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道보다도, 이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의 건강함을 강조한 내용이다. 즉 몸이 주체이고 대상이 마음이라면 몸을 그릇으로 보고 몸을 통한 행위의 신선함이 우선되어야 수련에 입문한다는 전제조건을 이야기한 것이다.

선인들이 강조한 수련방법은 이미 ‘삼일신고’에 담겨져 있었다. 5장 진리훈에는 자연과 인간, 우주와 인간의 본체에 대한 관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내면에 하늘이 함께 존재한다는 간단한 원리를 제시한 다음, 그리로 통하는 방법 3가지를 제시하였다. 바로 감정을 그치고(또는 감각을 추구하고), 숨쉼을 고르게 하며, 부딪힘을 금하라는 내용이 그것이다. 일견 문자의 뜻만으로 보면 단순하지만 글자 내면의 오묘한 철학세계는 평생을 수련해도 그 뜻을 깨우치기 힘든 것이다.

止感(감각의 추구)이란 느낌의 작용을 멈추어 마음의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이다. 외부 감정의 인식으로 몸의 포로가 되면 인간은 마음이 황폐하여지고 이어 수명도 단축된다는 것이니, 수련에 임하는 사람은 당연히 육체적인 욕심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禁觸(부딪힘을 금함)은 나와 만물이 그 뿌리를 같이 함에도 나라는 편협한 몸에 갇혀 대상을 추구하거나 괴롭힘이 있으니, 대상과의 마찰을 없애라는 것이다. 대상은 외부로부터 인식되는 사물뿐만 아니라 내 마음 속의 갈등 요소도 포함하는 것도 물론이다.

調息(숨쉼을 고르게)이야 말로 수련의 핵심이다. 調息은 지감이나 금촉의 방법론으로, 이는 몸 안으로 들어오는 모든 감정과 욕심의 통제는 숨쉬기로서 가능하다는 뜻이다. 숨은 곧 氣로써 오늘날 모든 수련을 기수련이라 하는 어원이 되었고 스스로가 느끼는 세계의 조절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숨쉼은 음식이 주관하는 육체의 기질을 호흡이 주관하는 마음의 기질로 바꾸어 나가는 핵심인 것이다.


왜 오늘날 각박하고 병든 사람들의 마음을 치료하고 사회 환경을 바꾸어야 하는가는 긴 설명이 필요치 않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고매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스스로의 삶과 환경을 파괴해 왔다. 이러한 우매함을 고치는 수단은 인간 스스로의 개혁밖에 없기 때문이다.

서구의 기계론적 결정관으로 건설된 오늘날 문명사회의 문제점 해결을 묘하게도 비과학적, 비논리적 사고라고 일컬어진 동양적 사유관에서 그 해답을 찾으려고 하는 것을 보면, 동양적 마음의 수련은 충분히 그 해답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주의 본질 속에 흐르는 계속성의 법칙, 전체성의 과학, 총체적 학문을 학문이라고 이름 붙이기 전의 근원을 찾을 수 있는 점도 그 때문이다. 아쉽게도 그 철학적 깊이와 의학적 실용성에도 불구하고 현대 문명이 현대과학에 대한 방어적이고 해명적인 위치밖에 머물지 못한 것은 수련문화가 외부의 조건으로 닫혀버렸기 때문이다. 때문에 수련자는 혼란에 빠진 인간 본성의 영역을 되찾고 미래과학에 대한 선도적 역할, 구체적인 기틀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한 시대적 사명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수련자들은 줄기는 제쳐두고 가지만을 지키려고 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지식들이란 겨우 사물의 현상만을 추구할 뿐, 본질을 등한시하는 학문의 사조 때문에 수련을 연구하는 학문마저 현상위주로 흐르고 있는 오류를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오로라 측정, 뇌파 연구, 킬리언 사진 등으로 얻는 것은 결국 수련의 대중성 확보를 위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것들이 인류혁명의 목적과는 다른 형태로 변질되어 오용되지 않을까 우려를 금할 수 없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그레샴의 법칙은 사회문화에도 적용되기 때문이다.

개인혁명은 호흡법으로 완성하고, 사회혁명은 功完으로 완성하며, 인류혁명은 수련을 통한 靈性의 일반화가 되었을 때 가능할 것이다.

추후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하는 것은 인류 지성의 나태함 중 가장 연구가 미흡했던 정신세계를 더 이상 신비주의의 영역으로 남겨놓아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우주창조의 비밀을 종교의 영역으로만 방치한다든지, 과학의 한계에 대한 수련적 깨우침을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질병의 원인이 마음에 의해 생기는 것을 장기간 수련자들이 경험적으로 증언한 것을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도 그것이다.

연구 결과 느낌 고감도의 세계는 우리의 인식 저편이 결코 도사나 신선의 영역이 아닌 우리의 3차원 공간에 있음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과학과 신비의 영역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고 모든 이들이 다차원을 공유하여 함께 참 본성의 세계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부  록


1. 수련시 나타나는 초능력에 대한 견해


2. 시공간, 절대의 세계에 대한 체험



偶人과 百石, 法光은 수련시 나타나는 일종의 체험을 일반인들이 초능력이나 신비주의로 이해하는 수준에 대해 주목할 만한 증언을 하고 있다. 과학으로 검증이 어려운 분야로서 개인의 체험에 대한 보편성도 문제가 되지만 실제로 연구자 자신도 느낀 세계이므로 그들의 증언에 대해 일체의 의심을 가지지 않았다. 따라서 자칭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여 혹세무민하는 사람들이 과연 이러한 체험을 바탕으로 하였는지, 아니면 주관적인 착각으로 환시나 환청에 주화입마한 사람들인지 알기 위해 질적 연구자들의 견해를 수록하였다.


제1절 수련시 나타나는 초능력에 대한 견해


통상 염력, 투시, 텔레파시, 醫統 등 여러 종류의 초능력은 마치 수련만 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고 있으나, 장기간 수련자들은 수련이 진행됨에 따라 겪게 되는 현상일 뿐임을 강조하고 있다. 더구나 약간의 체험에 의존하여 이를 상업주의로 전환, 혹세무민하는 자세는 본인을 망칠 뿐만 아니라, 요절하게 될 것이라는 무서운 경고를 덧붙이고 있다. 정염같은 이도 “하늘을 나는 술법이라 하여도 이는 바른 자세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는 만큼, 설령 일반인이 보기에 신비한 그 무엇이 있어도 사용하지도 자랑하지도 말 것을 계속 강권하였다. 특히, 논문으로서 학계에 처음 보고하는 관계로 자칫 학문의 길에 방해가 될까 우려하는 마음도 있었는데, 특히 의통 분야에서 조심스럽게 다룰 것을 당부 하였다. 기의 고수라고 소문날 경우 암환자, 당뇨, 비만 등 현대의 고질병 환자들이 스스로의 습관으로 생긴 병임에도 불구하고 남의 힘을 빌어 낫고자 하는 욕심을 경계한 때문이다.

醫統은 중단전까지 열린 상태에서 몸과 마음이 어느 정도 맑은 상태가 되면 타인의 氣質이 나와 함께 하나가 되어 수련자가 느끼게 되는 상태를 말함이다. 즉 같이 있는 사람의 몸 상태가 그대로 전이되어 수련자가 알게 되는데, 오장육부의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감정까지도 그냥 알게 되는 것이다. 무속인의 경우 이러한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 편이고, 한의학자인 김홍경씨도 그의 저서 「내몸은 내가 살린다」에서 말하기를 환자가 들어오면 환자의 아픈 부위가 자신이 아파지는 경험이 숱하게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결국 느낌 강도가 진해질수록 몸의 혈자리가 열리게 되어 감각을 회복한다는 신고의 止感이 진행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偶人은 중단전이 열리면 알게 되는 각 장부의 느낌을 의통의 초기상태라고 정의하면서 각 장부의 느낌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五藏 중 腎藏이 안 좋은 사람이 옆에 있으면 나의 腎藏이 뜨겁게 느껴진다. 肝藏이 안 좋은 사람은 무겁게 느껴지나 肺가 좋지 않은 사람은 내가 답답하다고 느낀다. 心藏의 경우는 팔딱팔딱하는 느낌이 강하게 오고, 특히 흡연자의 경우 기관지가 가래 끓듯 하여 기침이 나오기도 한다. 胃藏은 더부룩하며 트림이 올라오는데, 처음에는 신기하여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 시험하여 보기도 하였다. 아마 五藏의 진단에서 한의사의 진맥이나 내시경, X-ray 촬영 등이 오차가 있다면 수련자의 진단은 100%이다. 환자가 아픈 곳이 내가 아픈데 틀릴 리가 있는가.」


초기 의통 단계에서 상단전 수련까지가 진행된 사람은 다른 사람의 감정상태까지 그대로 전이가 되어 오는데, 소위 칠정인 喜怒愛樂 哀惡慾 전부를 같이 느낀다고 한다. 감정의 파장은 뇌파로써 뿐만이 아니라 소위 심장의 고황부분에서도 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특이 자기장의 생성을 유발하게 되어 주변부까지를 같은 場의 범주로 감싸안게 되어 수련이 고감도로 진행된 사람은 그것이 감지된다고 하는 것이다.

法光은 수련자가 일정 수준이 되기까지는 상가집에 갈 것을 삼가라고 권고하고 있는데, 이는 소위 죽은 자의 감정 파장이 그대로 남아 있어 파장에 동화될 경우 소위 빙의 또는 다중인격이 될 확률이 높음을 암시하였다. 따라서 수련이 단계별로 진행되어 하단전의 丹이 형성될 경우는 부정적인 에너지 파장을 수련자의 의지로 태울 수 있지만, 단전이 부실한 가운데 상단전만 밝게 하는 기도나 또 다른 형태의 정성만으로 수련시 부정적 파장의 공세에 방어할 힘이 없다고 보기 때문인 것이다.


醫統이 되었다고 하는 사람은 소위 氣를 손으로 放射할 수 있는 수준인데, 이는 타인의 잘못된 에너지 파장을 순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丹이 형성될 때 손과 발 등, 인체의 나뭇가지 수준에서는 뜨거운 열감이 감지되고 실제 온도도 올라가는데, 이때 손이나 이마 등에서는 특이 자기장이 방출된다는 연구결과도 있고 보면 기 치료는 허황된 소리는 아닌 것이다. 그러나 기치료의 수준에서는 시술자 자신의 파장으로 타인의 잘못된 파장을 순화시키는 관계로 시술자도 상당한 파장의 손실을 감수해야만 한다. 더구나 고감도의 수련자는 기치료 자체가 일종의 邪術임을 경험으로 알고 있는 관계로 시도를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령 시도를 한다고 해도 피시술자가 2 ~ 3일 정도는 효과를 보지만 이후는 원래대로 돌아가기 때문에 소용이 없다는 점을 미리 경고해 두기도 한다.


透視는 육안이 아닌 心眼으로 보이는 상태를 말함인데, 상단전의 폭발(Big Bang)이 있고난 다음 나타나는 현상이다.

사물의 경계나 대상의 好 ․ 不好가 없는 상태에서 수련자가 원하는 대상의 형태가 흐릿하다가 점차 또렷이 드러나는 상태로 되어간다. 실제 法光은 이 현상을 명상으로 경험한 바 있으며, 그 수준에서의 감각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고 있다.


「몸과 마음이 거울같이 맑아졌다고 느끼면서 話頭를 잡고 씨름하던 중 갑자기 눈앞이 번쩍하고 환해졌다. 눈을 떴는지 감았는지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내가 앉아 있는 방의 벽은 없고 대신 바깥 풍경이 확 드러났다. 울타리 옆의 나무와 나무 위의 구름까지도 선명히 보이는데, 하도 신기하여 고개를 들어 천장을 보니 푸른 하늘까지도 보이는 것이다. 재미있어 옆을 봐도 인접스님이 졸고 있는 모습, 멀리 신자들이 걸어오는 모습까지도 보이는데, 아마 시공간의 개념을 극복한 것이 이때가 아니었나 싶다. 결국 시간이나 공간이란 것은 우리 인간의 머리 수준에서 박힌 개념일 뿐, 모든 사물이 한 뿌리라는 말의 의미를 이때서야 깨달았다.」


염력에 관한 논리는 인체의 에너지가 파장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을 이해하면 그리 신비한 수준은 아닌 것이다. 물질도 고유한 파장을 가지고 있고, 인체내부의 파장도 생명체로서의 파장으로 근본 속성은 같다고 할 수 있다. 파장에 대한 응용을 아는 정도의 수련자들은 염력도 수련 중에 발생하는, 그냥 지나치는 일종의 단계로 이해하고 있었다. 百石의 경우 염력의 초기단계를 연습하던 중 스승에게 혼나고 그만 둔 경험을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음식단계의 몸을 극복하고 숨쉼 단계로의 몸을 이해하게 되었을 때 쯤, 마음이 몸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들었다. 마음먹은 대로의 물질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확신시키기 위해 향의 연기를 변화시켜 보았는데, 놀랍게도 마음이 가는 방향으로 연기가 변화하는 것이었다. 재미있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여 연꽃 모양으로 상상을 집중해 본 결과 향의 연기가 조화를 부려 연꽃 형태로 확실히 변화하고 있었다. 옆의 촛불을 대상으로 실험을 변화하였는데, 더 강한 집중으로 불의 방향을 눕혀 보았다. 결국 염력이란 것은 만물의 파동을 나와 일치시켰을 때 그 파동의 변화가 주관자의 의지를 따른다는 것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으로 본다. 소위 근대 물리학자가 말하는 나비 이론, 즉 캘커타의 나비 날개바람이 뉴욕의 태풍으로 바뀐다는 것도 만물의 근본이 상호간에 파장의 공유로 인한 결과론일 뿐, 신비한 것도 형이상학적인 것도 아닌 것이다.」


미국이나 소련에서 초능력을 연구한 결과 실제로 군사에서 응용한 사례가 최근들어 속속 밝혀지기도 하는데, 1979년도 이란 미대사관 인질 사태시 초능력자의 투시로 현장을 그려서 특수부대를 투입시킨 사례라든지, 소련의 KGB에서는 미국의 우주전쟁에 대비하여 인간의 염력으로 미사일의 방향전환을 실험하였다는 사례는 인간 정신 영역의 무한대를 설명하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제2절 시공간, 절대의 세계에 대한 체험


절대의 세계란 인간이 의식하는 수준으로 볼 때 시공간이 없는 무의식의 세계라고 할 수 있다. 초월의식, 깨우침의 세계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결국은 동양적 無의 체험을 일컫는 말일 것이다.

실제 偶人은 수련중 시간과 공간이 없어지는 경험에 대해 최초의 두뇌폭발이후 경험한 세계를 한마디로 이야기 하였다.


「시간과 공간은 우리가 만들어 놓은 틀이다. 스스로가 만든 틀 속에 있기 때문에 3차원적인 생노병사에 헤맬 뿐, 근본은 절대자리와 통한다.」


「상단전 수련으로 두뇌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느낌이 있을 때 그 현상 자체를 관조하던 중 최초의 인당혈 빅뱅이 있었다. 번쩍하는 섬광 이후 머리가 환해지는데, 시간이 밤 12시가 넘어 있고 방에 불이 꺼져 있음에도 너무 환한 나머지 누군가 형광등을 켠 줄 알았다. 잠시 눈을 떠 보니 방은 그대로 어둡고 두뇌 쪽만 환해져 있는 상태 그대로였다. 다시 명상에 들어가 빛 자체를 조용히 바라보고 있을 때 색깔 있는 파동이 사인곡선을 그리며 출렁이고 있었다. 파동의 색은 노란색에 초록빛이 함유되어 있고 파동의 바탕은 아마 자주색이었던 것 같다. 일렁거리기도 하고 옆으로 움직이기도 하는데, 어느 순간에는 사람 얼굴 모양을 하였다가 또 어느 때는 멀리 떨어져 있는 빛의 상태로 나를 비추기도 하였다. 이때의 감정상 기분은 황홀 그 자체로 표현할 수밖에 없는데 계속 그 기분을 유지하고 싶어 깰까 두려웠다. 한편으로 이 상태가 죽음너머의 세계가 아닐까 하는 질문을 하기도 했는데, 그냥 스르르 깨어났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아마 5분 정도 쯤 이 세계를 경험했나 싶었는데, 눈을 뜨고 시계를 보니 오전 8시를 조금 넘어 있었다. 빛의 세계에서 놀았던 것이 내 인식상으로는 몇 분이었지만 우리가 정해놓은 직선적 시간개념으로는 8시간을 지난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1981년도 미 의회 학술 연구국의 보고서에서 그 객관성을 인정하고 있다. 즉「인간의 의식은 타인의 의식이나 물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자연계에서는 실제로 이와 같은 상호 연관성을 바탕으로 모든 것이 진행되고 있고, 이는 인간의 의지나 감정에 의해 증폭되기도 한다.」는 것이 그 것이다.



                   Abstract


  Understanding Methodology & Modern Interpretation

  on Training Principle Of Samilshingo


  Limitation cannot but exist in expressing Training and Accomplishment in the language. Because training itself is the world of personal experience which is obtained by sensibility. But there is a natural law in the world of experience which unreliability dominates and a certain law which dominates a flow in the midst of chaos of universe change.

  Therefore, in this thesis, I tried to look into how to get the essential qualities to training through literature in the ancient times such as Samilshingo, and to systematize training principle by means of the depth personal interview on long-term trainers compared with contents written in the literature regarding training in Chosun Dynasty.

  In the view of the results on Samilshingo which I studied, I think it looks upon the nature of universe as one, and it gave three primitive elements the name of nature, life, and spirit, and consider human beings as a completed one who integrated them.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function I found out modern training method of combining process that in the basic Samilshingo teachings that human beings were divided as three factors such as body, energy, and nature. That is, training is the process which is unified as one by human trisection constitution, and the methodology for them is to explain the pursuit of sensibility, prohibition against conflict, and breathing evenly. 

  The pursuit of sensibility is to pursue the peace of mind by stopping action of feeling. The person who is absorbed in training naturally has to get out of physical desire because human mind will be devastated and human life will be also shortened by being a prisoner of the body by recognition on external emotion.

 Prohibition against conflict is to get rid of conflict against objects because we are apt to pursue objects or to be troubled by being kept in the narrowed body even though everything has the same roots as us. Naturally objects include conflict factors within our mind as well as things which are recognized by the outside.

  Breathing evenly is the core of training. This means the possibility that every emotion and desire can be controled by breathing. Breath is the Gi(Energy & Spirit), and the term became the etymology of Gi-Training which every training is referred to as. This is the measure of the controlling the world which they feel by themselves. Therefore, Breathing is the core which physical disposition will be changed into mental disposition which breath is in charge of.

  As the results of collection and testimony of long-term trainers for this study, the method is to train through breathing which human will can control, and final step is to do human beings good after unifying heaven and human beings. The core is breath, not breath of chest but hypogastric breath which is breathing by the lower abdomen, then enters from the state without breathing completely to the inside of nature.

  Finally, I think the solution through training should be spread widely from the standpoint of today's civilization which is constructed by mechanical determinism seeking the answer in oriental meditation which is called as unscientific and illogical thought. 

  Personal revolution will be able to be completed by breath exercise, social revolution will be completed by sincere efforts, and human revolution will be attained by generalizing the nature of soul through training. Later I'd like to study further to be awakened the world of the true nature along with sharing the world of high sense which long-term trainers witnessed.

참고문헌


<단행본>


김성수ㆍ정일규, 『운동생리학』, 대강출판사

김용옥, 『독기학설』, 통나무 출판

김종준, 『쉽게 푼 역학』, 상한출판사

김홍경, 『내 몸은 내가 고친다』, 식물차장

김홍경 역, 『음양오행이란 무엇인가』, 연암출판사

데이비드 호킨스, 『의식혁명』, 한문화

도헤이 고이치, 『기를 알면 성공이 보인다』, 창해출판사

D.번즈, 『우울한 현대인에게 주는 번즈 박사의 출고』, 문예출판사

박문기, 『한자는 우리글이다』, 양문출판사

박병철 외, 『과학은 지금 물질에서 정신으로 가고 있다』, 고려원 미디어

안기석, 『천부경의 비밀과 백두산족 문화』, 정신세계사

이승헌, 『천지인』, 한문화

      , 『단학』, 한문화

      , 『신성을 밝히는 길』, 한문화

이현갑,『철학개론』

일리야 프리고진, 『혼돈으로 부터의 질서』, 고려원 미디어

이기동 역, 『주역이란 무엇인가』, 여강출판

이완재, 『동양철학을 하는 방법』, 소강출판

이현구, 『최한기의 기철학과 서양과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균형 역, 『홀로그램 우주』, 정신세계사

전영광, 『호흡수련과 기의 세계』, 정신세계사

정병석 역,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

정태진, 『붓다의 명상과 호흡』, 정신세계사

조헌영『통속 한의학 원론』,

최동환, 『삼일신고』, 하남출판사

최영진ㆍ이기동, 『주역』, 동아출판사

최태영, 『한국 상고사』, 유풍출판사

피터 드러커,『자본주의 이후의 세계

김낙필, 『조선의 내관사상』,  한길사

홍대삭, 『심리학 개론』, 박영사

엘리사,『전 인류에게 고함』, 대도대한 출판

김용옥,『혜강 최한기의 사상과 유교』. 성균관대, 통나무 출판



<논  문>


김경환(1997),「기공과 경락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

김기갑(2001),「기공수련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실증연구」, 고려대

김문희(1999),「기공양생가의 호흡수련에 관한 문헌적 고찰」, 의료학회

김우호(1991),「기공학 발달에 관한 문헌연구」, 경희대

김한곤(2002),「기공명상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 원광대

김현(1998),「한민족의 생물이용원리인 음양오행론의 기원에 대한 고찰」,   정신과학학회

김형배(1997),「정신과학의 과학적 방법론에 관한 고찰」, 정신과학학회

박석(1997),「깨달음과 패러다임의 전환」, 정신과학학회

    (1998),「종교와 명상에 있어서 주관성과 객관성의 문제」, 정신과학학회

박문현(2000),「주역과 기공」, 정신과학학회

      (2000),「정신의학의 무속과 기공의 상관성 연구」, 정신과학회

박종구(2002),「태극권에서의 발경의 원리와 실제」, 정신과학학회

반창렬(2002),「삼일신고 진리훈의 수련원리와 한의학과의 상관관계」, 경산대

신용철(2000),「기수련 부작요인의 정신장애」, 의림

신학수 외 7(2002),「기공수련시 손에서 방출되는 특이 자기장의 측정」,    정신과학학회

이명수외 5(1999),「한국의 기수련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과학학회

이의원(1997),「생체 자기장을 통해본 인체기의 기능구조 및 체질론」, 정신과학학회

이하전(2001),「불가기공에 관한 고찰」, 원광대

장동순(1998), 「음양오행 속성의 물리적 해석에 의한 체질론」, 정신과학학회

정우열(1997),「한의학과 기」, 정신과학학회

정재승(1997), 「전통 선도 수련법의 특성」, 정신과학학회

정종호(1998),「초자연현상 연구와 관련학과 설립의 당위성」, 정신과학학회

정형재(2002)「음양이론으로 본 신경계의 기능, 범위 및 구성에 관한 연구」   , 정신과학학회최윤수(1999),「삼일신고와 참전계경의 구성비교」, 정신과학학회

허 훈(2000),「체험윤리에 관한 시론」, 정신과학학회

'♡ 지구촌의 사상 ♡ > ♡ 한국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상사개요 1  (0) 2012.03.17
한국 성리학의 전개   (0) 2012.03.17
음양오행과 과학(도올 김용옥)  (0) 2012.03.17
한국철학사~?  (0) 2012.03.17
[스크랩] ◈ 天符經 ◈  (0) 2005.03.31